지각판의 한 가운데에 위치한 한반도는 그동안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됐다. 하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지각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은 지진이 한반도에서 꾸준히 관측되면서 지진 안전 지대는 옛말이 됐다.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놓여있는 판의 내부에서도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지진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한반도에서 지진 관측을 시작한 것은 1978년. 이후 한반도에서는 규모가 작은 지진이 꾸준히 발생했다. 창문이 깨지거나 건물이 흔들리는 등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은 모두 6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진 발생 빈도는 1980년대 16차례, 1990년대 26차례, 2000년대 44차례 등으로 늘고 있다. 특히 2013년에는 91차례의 지진이 발생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1978년 이후의 국내 지진계측 자료와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같은 사료를 모아 지진 발생 빈도를 예측할 수 있는 ‘비밸류(b-value)’ 값을 구한 결과 ‘0.6’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는 4.0 규모의 지진이 6번 일어났을 때 5.0 규모의 지진이 한 번 일어남을 의미한다. 중국과 일본은 4.0 규모의 지진이 10번 일어났을 때 5.0 규모의 지진이 한번 발생해 비밸류값은 1.0을 기록했다.
비밸류값이 줄어들면 작은 지진 발생 횟수가 적더라도 큰 지진이 발생할 확률과 빈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비밸류 값이 작아 규모가 작은 지진이 수차례만 발생해도 규모 5.0 이상의 큰 지진이 뒤따를 수 있다. 홍태경 교수는 “지진 발생 횟수가 적다고 안심해서는 안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규모 2~5 정도로 작다는 것도 사실과 다르다. 1976년 중국 탕산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은 판의 가운데 지점에서 발생했는데 당시 23초간의 진동으로 20만여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판의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지진 발생지가 지표와 가까운 것도 위험요소로 꼽힌다. 규모 7.0의 지진이 땅속 100㎞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규모 5.0의 지진이 땅속 5~10㎞에서 발생하는 것이 더 큰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홍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은 땅속 15㎞에서 규모 6.5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정도”라며 “하지만 규모 5.0의 지진이 5㎞ 부근에서 발생한다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한반도로 전해져 지각이 흔들리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 16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의 진동이 부산과 서울까지 전해지면서 119에 수많은 신고전화가 접수되기도 했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특히 일본 규슈 지역은 한반도와 동일한 판에 놓여있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 안에 한반도에서 규모 5.5 정도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진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질조사를 통해 한반도 아래 존재하는 단층 규모를 파악하고 누적되어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