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인한 물류대란은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정부의 예상이 빗나가면서 한진해운을 회생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미 세계 해운 시장에서 신뢰를 잃은 한진해운을 되살리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업계는 전날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일단 한진해운의 경영을 정상화한 뒤 후속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 공감하고 있다. 부산지역 시민단체·항만노조 등으로 구성된 한진해운살리기 부산 시민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서울로 올라와 오후 2시부터 한진해운을 회생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현재의 물류대란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세계 해운시장에서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발생했다. 법정관리 신청을 계기로 한진해운으로부터 미수금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 선사는 선박 회수·압류에 나섰고, 각국 항만의 하역업체들은 작업을 거부하기 시작했다. 이들에게 한진해운이 계속 영업하면서 돈을 갚을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을 주면 좀 더 수월하게 물류대란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게 해운업계의 생각이다.
일단 한진해운의 경영을 정상화한 뒤 후속 대책으로 경영진·대주주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문 전 대표의 주장에 대해 조봉기 한국선주협회 상무는 “올바른 선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진해운을 살리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현재의 물류대란부터 수습해나가는 게 결국 한진해운이 회생하든, 청산되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물류대란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줄이기 위해 한진해운이 미지급금을 해결할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법원이든, 정부든 빨리 추가 지원 방안을 내놓으라는 촉구이기도 하다.
한진해운에 따르면 전날 오후 기준 정상적으로 운항하지 못하는 한진해운 선박은 컨테이너선 70척, 벌크선 15척 등 모두 85척이다. 비정상 운항 선박 수는 지난 5일 오후 기준 73척에서 하루만에 12척이 늘었다. 한진그룹은 전날 한진해운 선박에 실려 있는 화물의 운송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지원안을 내놨지만 업계에서는 물류대란을 해소하는 데는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업계는 한진해운 선박이 정상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약 2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증권업계에서는 한진해운을 회생시키기 늦었다는 진단을 내린다. 강성진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채무의 조기상환 요구에 부딪치고 해운동맹에서 퇴출돼 영업적 타격까지 발생했다”며 “한진해운의 전면적 정상화는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전에는 만기가 돌아오는 금융차입금과 당장 상환해야 할 상거래 채무만 해결하면서 경영 정상화를 모색할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해운시장에서 신뢰를 잃은 지금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훨씬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한다. 한진해운은 약 6500억원의 연체된 상거래 채무과 지난 상반기 말 기준 약 4조9000억원의 금융차입금을 안고 있다.
한진해운이 다시 해운동맹에 가입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한진해운이 가입하고 있던 해운동맹 CKYHE얼라이언스 소속 선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