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을 하면서 이용자가 뽑기를 해서 얻는 것을 말한다. 주로 유료로 뽑기를 할 수 있는데 이용자는 뽑기에서 당첨되면 무기·캐릭터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동안 게입업계에서는 뽑기 아이템의 당첨 확률을 의무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지나친 규제’라는 지적이 제기돼 이를 업계 자율에 맡겨왔다.
그런데 업계 자율에 맡겼던 확률형 아이템 문제가 최근 한 이용자에 의해 불거졌다. 데스티니 차일드 개발사는 최고급인 ‘5성 차일드’ 뽑기 당첨확률을 1.44%라고 공개했다. 그러나 데스티니 차일드 이용자는 “아이템 구매에 3600만원을 썼는데, 아이템 획득률이 회사가 공지한 확률보다 크게 떨어졌다”면서 게임사가 아이템 당첨확률을 잘못 공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이용자는 “실제 아이템을 유료로 구매해서 아이템을 뽑아보니 5성을 뽑을 확률이 1%도 못미친다”고 주장했다. 개발사는 논란이 지속되자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그 결과 “1.44%라고 잘못 공지했다. 실제로는 0.9% 확률이었다”고 사과하고 지금껏 이용자들이 유료 뽑기 아이템에 사용한 재화를 모두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네티즌들은 “계속 속이려고 마음먹었다면 속일 수 있었을텐데 게임 개발사의 양심적 고백에 박수를 보낸다”고 환영했다.
그러나 이번 이슈로 게임사를 더 못믿겠다는 불신의 의견도 많았다. 한 네티즌은 “확률형 게임을 믿을 수 없다. 게임사의 눈먼 사기에 놀아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네티즌은 “이래서 자율적 확률형 아이템 제도는 의미가 없다. 만약 그 이용자의 폭로가 없었다면 게임사는 계속 우리를 속였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인터넷 상에서는 ‘데스티니 차일드 조작’ 논란 이후 “이래서 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여론이 강해지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최근 조사한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게임이용자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게임 이용자 90.6%가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피력했고, 94.2%의 이용자가 자율규제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바 있다.
마침 국회에서도 확률형 아이템 규제 논의가 한창이다. 지난달 이원욱 의원(더민주당)은 획득 확률 10% 이하의 ‘확률형 아이템’이 판매되는 게임물에 대해 청소년이용불가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획득확률이 10% 이하인 확률형 아이템의 종류 및 구성비율, 획득 활률 등의 정보를 게임물내용정보에 추가하고 해당 게임물을 청소년이용불가 등급으로 분류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의원실은 “업계에서 자율규제를 강화한다고 하고 있지만 부족하다는 판단”이라며 “다만 10%라는 기준의 경우 향후 의견을 반영해 변경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이 확률형 아이템을 겨냥한 규제법안을 내놓은 것은 20대 국회 들어 벌써 세 번째다. 이 의원에 앞서 지난 7월 정우택·노웅래 두 여야 의원이 나란히 확률형 아이템의 습득률 명시를 내세운 법안을 각각 발의 했다.
한 네티즌은 “더는 게임사를 믿을 수 없다. 그동안 게임사의 양심을 믿었지
[이선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