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유제품 유통업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주유소와 일반판매소 사이의 거래를 허용하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이하 석대법)’ 개정을 강행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1일 법제처가 석대법 개정안의 심사를 마쳐 시행까지는 차관회의와 국무회의 상정만을 남겨두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지금까지 주유소는 주유소끼리, 일반판매소는 일반판매소끼리 석유제품을 거래할 수 있었지만 이 장벽을 거두는 게 개정안의 골자다. 일반판매소는 플라스틱 통에 석유제품을 담아 판매하는 영세업체를 말한다.
석유유통협회·주유소협회·일반판매소협회는 산업부가 지난 8월 석대법을 입법예고한 뒤 계속해서 주유소와 석유판매소 사이의 거래를 허용하면 세금탈루 등을 노린 가짜석유 판매가 급증할 것이라고 반발해왔다. 석유판매소 사업을 시작하는 데 초기 자본이 많이 들지 않아 누군가 석유판매소를 개업하고 이를 활용해 가짜 석유를 유통하다 적발돼도 잃을 게 별로 없다는 논리다.
이에 산업부는 석유제품 유통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가짜 석유를 거래한 양측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박재영 산업부 석유산업과 과장은 “현재 석유판매소는 월간단위로 수기 작성한 거래 현황을 보고하고 있지만 수평거래를 하려면 주간단위 전산보고를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석유유통업계는 정부의 대책으로는 가짜 석유를 단속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가짜 석유를 유통하는 업자들의 수법이 갈수록 치밀해져 이를 단속하는 석유관리원은 지금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새로운 유통경로에 대해 단속을 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석유유통협회 관계자는 “석유관리원에 소속돼 불법 행위를 단속하는 일선 직원들도 주유소와 석유판매소 사이의 거래를 허용하는 데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아가 석유제품 유통에 대한 관리를 국세청으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도 등장했다. 소비자 판매 가격의 50% 이상이 유류세이기 때문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가짜 석유를 만드는 원가는 휘발유를 만드는 원가와 비슷하다”며 “가짜 석유를 파는 사람들이 취하는 부당이득은 유류세를 탈루하면서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석유유통업계는 당초 산업부가 내세운 도서지역의 일반판매소가 석유제품을 공급받는 가격이 하락할 것이란 전망에도 반론을 제기했다. 석유유통협회는 “대리점들이 일반판매소에 석유제품을 공급하는 가격을 주유소와 비슷하게 책정하고 있다”며 “일반판매소가 같은 소매업자인 주유소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는다고 해도 판매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한국석유공사의 유가정보 홈페이지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해 주유소의 평균 경유 판매가격은 1209원으로 일반판매소의 1204원보다 비싸다.
농협에 대한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