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총인구가 2031년 5295만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이듬해부터 줄어 2065년에는 1990년 수준인 4302만4000명까지 떨어진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올해(3762만7000명) 최고점을 기록한 뒤 내려오기 시작해 2065년 2062만명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15년 654만명에서 해마다 증가해 2025년 1000만명을 돌파하고 2035년에는 1500만명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는 2015년 36.2명에서 2059년 100명을 넘게 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부양 부담을 안게 된다.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맞춰 고용·복지·산업구조 전반의 틀을 새로 짜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8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결과를 발표했다. 총인구는 2012년 5000만명대에 올라선 이래 지난해 5101만5000명을 기록했다. 2021년 5212만4000명으로 5200만명 선을 뛰어 넘고 2031년 5296만명 선까지 가지만 5300만명은 넘지 못하고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의 저출산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뒤인 2115년 한국의 총인구는 지금의 절반 수준인 2581만5000명으로 추계됐다.
생산가능인구는 2011년 추계와 마찬가지로 올해가 정점이었고 내년부터 감소한다. 2025년 3576만명, 2040년 2943만명, 2055년 2442만명으로 급격하게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정점시기는 5년 전 추계보다 1년 늦춰졌고, 인구규모는 80만명가량 커졌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기대수명 증가 속도가 빨라졌고, 해외로 나가는 인구 대비 국내로 들어오는 인구의 수가 2015년에 8만1000명이나 되는 등 국제순이동자 증가 추세가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계에서 가
통계청은 5년마다 50년 앞을 내다보는 장래인구추계를 실시하고 있는데 올해 처음으로 100년 뒤까지 전망했다.
[김세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