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계층별 물가 상승 체감도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소득층일수록 식료품 등의 지출이 커 최근 채소·육류 등 식품 물가가 크게 오른 영향을 더 받았다. 지난 3~4년 간의 저유가는 교통비 비중이 높은 고소득층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13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와 통계청에서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제공받아 분석한 데 따르면 소득 최하위 10%(1분위) 가구는 2015년 한 해 동안 1.33% 소비자물가가 상승한 반면 소득 최상위 10%(10분위) 가구는 0.41%에 그쳤다. 최극빈층이 가장 부유한 계층보다 체감물가 상승률이 3배 이상 더 높았던 것. 소득 하위 절반(1~5분)의 물가 상승률은 1%를 넘었지만 소득 상위 50%(6~10분위)는 0%대 물가를 체감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간의 물가 상승률도 1분위는 3.86%인 데 반해 10분위는 2.64%였다. 전반적으로 소득 형편이 악화될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은 높아지는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소득 구간을 5개로 나눠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김 의원은 2012년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놓고 식료품·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 보건, 교육 등 12개 지출 분야에 대한 소득 계층별 가중치를 달리 계산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소득 계층별 체감물가 상승률이 다르게 나온 까닭은 항목별 지출 비중의 차이 때문이다.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소득 23.6%를 쓰지만, 10분위는 11.1%밖에 지출하지 않았다. 10분위는 교통비 지출이 전체 소득의 14.3%에 달했지만, 1분위는 그의 절반인 7.3만 쓰고 있었다. 주거비용으로 볼 수 있는 주거·수도·광열 지출 비중도 1분위는 18.2%였으나 10분위는 7.7%에 머물렀다. 소득이 낮을수록 의식주에 쓰는 돈이 많고, 돈을 많이 벌수록 기타 다른 항목에 지출이 많은데 최근 저유가가 오래 지속되면서 고소득층에게 상대적인 혜택이 돌아간 것이다.
김 의원은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각기 다른 소득계층별 지출비중을 반영한 계층별 물가지수 도입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공식 지표와 체감물가와의 괴리를 좁히기 위해 다양한 물가보조지표를 활용하고, 올해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만
[김세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