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 진통제는 서방형 진통제와 속효성 진통제가 있다.
지속되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서방형 진통제는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사용하고, 속효성 진통제는 돌발 통증이 나타났을 때 사용한다.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구할 수 있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은 대표적인 비마약성 진통제다. 그래서 두통이나 치통, 생리통 같은 가벼운 통증을 다스리는 데 사용하기 적합하다. 비마약성 진통제로 조절할 수 없는 중등도 및 중증 통증은 마약성 진통제로 치료한다.
서방형 진통제는 경구약과 패치제가 있다. 경구약은 오랜 시간 몸안에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특수한 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씹거나 갈아서 먹지 않는다. 패치제는 통증 부위가 아닌 가슴 상부 또는 팔 위쪽의 건조한 피부에 단단히 붙이고, 교체할 때는 이전과 다른 위체에 붙여 피부 자극을 줄이도록 한다. 높은 온도에서는 약의 흡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전기담요, 사우나 같은 외부 열원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속효성 진통제의 종류에는 먹는 경구약, 뺨과 잇몸 사이에 약을 넣은 뒤 서서히 녹여 복용하는 경구약, 코 안에 뿌리는 비강분무제 등이 있다. 1회 사용 후 적절한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재사용할 수 있지만 한번 발생한 돌발통증에 대해서는 2회를 초과해 사용하지 않는다. 또 다른 돌발통증이 발생했을 때는 적어도 4시간 정도 간격을 두고 사용해야 하며, 돌발통증이 하루 네번 이상 발생한다면 의료진과 상의하여 서방형 진통제를 사용한다.
정선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약사는 "마약성 진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