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아이폰' 생산업체로 잘 알려진 대만기업 폭스콘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20여명이 넘는 직원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열악한 근무환경과 군대식 기숙사, 작업 중 대화금지 등 과도한 통제와 인권 침해 현실이 알려졌고, 이는 비단 폭스콘뿐만 아니라 애플의 이미지 실추로 이어졌다. 지난 10일 발생한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의 승객 강제퇴거 사건도 또다른 인권침해 사례다. 70대 승객을 막무가내로 끌어내는 비인도적인 모습에 분노한 사람들은 대대적인 불매운동에 돌입할 태세다.
기업의 '인권경영'이 최근 국제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이윤추구를 위해 인권침해를 묵인하던 경영 방식은 더이상 용납되지 않는다. 기업이 근로자와 소비자,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인권경영은 이제 지속가능한 기업 경영의 핵심가치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이같은 인권경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제11회 아시아인권포럼이 17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이틀간의 일정으로 개최됐다.
고려대 인권센터와 휴먼아시아 등이 주최하고 매일경제신문이 후원한 이번 포럼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수리야 데바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위원은 "과거와 같은 인권침해형 기업경영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며 "경영진은 자신들의 의사결정이 사업 전반에 관계된 모든 사람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진짜 인권경영 의지가 있는 기업(walker)과 말만 하는 기업(talker)를 구별해야 한다"며 "인권을 침해한 기업에게는 민형사 제제수단은 물론 정부 등 공공부문과의 계약에서 제외하는 등 새로운 제재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권 침해 기업에 대해 사회적 페널티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UN인권이사회는 지난 2011년 인권과 환경침해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명문화 한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후 여러 유럽 국가들에서 다양한 인권경영법 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앞서 프랑스 의회는 올해 2월 세계 최초로 대기업들에게 사업관계 전반에 걸쳐 인권 및 환경침해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예방 계획을 의무적으로 수립하게 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UN 인권이사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서창록 휴먼아시아 대표(고려대 인권센터장)은 주제발표에서 "과거 포스코의 인도제철소 건립 과정에서 벌어진 인권침해 논란처럼 인권 문제로 인한 기업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기업활동이 국제화되고, 옥시 살균제 참사처럼 기업의 인권침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인권경영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직 한국 기업은 인권 문제가 기업의 책임이라는데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며 "무역투자 조건에 인권을 반영하고 비(非)재무보고서를 활용해 인권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는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