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5일 5월 금통위 본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하기로 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0.25%포인트 인하된 뒤 11개월째 제자리에 머무르게 됐다. 특히 수출 호조 등으로 인해 한국 경제가 예상 밖의 높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연 2.6%에서 추가로 상향할 뜻을 내비쳐 주목된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경제가 수출과 투자 호조에 힘입어 예상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였지만,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가계부채 증가세 등 대내외 여건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상최저 수준인 기준금리에 대해서는 '이미 충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해 현재 상황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없음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줄어들었다고 말씀드렸는데 현재 여러 경제여건을 고려해보면 금리수준이 충분히 완화적"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수치는 밝히지 않았지만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연 2.6%에서 좀 더 높일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총재는 "민간 소비 증가세는 미흡하지만 수출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설비 및 건설투자도 양호한 상태"라면서 "여러 지표를 봤을 때 7월 경제전망에서 당초 전망보다 성장률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한은은 4월 경제전망 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6%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한은이 성장률 전망을 올린 것은 2014년 3월 이후 3년만으로 석달 만에 또 다시 높일 가능성이 커졌다.
이 총재는 문재인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방향에 대해 공감을 표했다.
그는 "저금리 기조가 지속돼 온 상황에서는 통화정책의 추가적 완화 여지가 제약될 수밖에 없다"면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지금처럼 저금리, 저물가 상황에서는 재정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한 것과 제 견해와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정정책은 일자리 창출 등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미시적 정책으로 유효성이 높다"며 새 정부 일자리 추경 방안에도 힘을 실었다.
최근 1360조원에 다다른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1분기 가계대출이 은행뿐만 아니라 비은행에서도 증가규모가 다소 꺾인 게 사실이지만 그렇지만 앞으로 가계부채가 계속 둔화될 지 여부는 확언하기 이르다"면서 "예년의 증가규모를 견줘 보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가 증가세가 꺾였다고 평가한 것과는 상반된 입장이다. 은행권을 중심으로 증가세는
이어 이 총재는 "소득증가 이내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가계의 소득기반 확대에 있어서 채무상환 부담을 낮추는 게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아닌가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