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제공 : SK텔레콤] |
SK텔레콤과 호서대는 지난 30일 인천 남항 서쪽 10km 해상, 수심 약 25m 깊이, 송수신 거리 약 800m 환경에서 LTE 방식을 활용해 바닷속 통신기술 시험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고학림 호서대 교수는 "바닷속에 수중 기지국을 만드는 수중통신 방식 실증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라며 "이번 시연을 통해서 수중기지국에 집적된 각종 데이터가 수중 통신을 통해 해상부표 전달에 성공, 수중 기지국 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핵심 연구 단계를 넘어섰다"고 강조했다.
또 "서해 인천 앞바다는 특히 바닷물의 혼탁도가 심하고 수심이 얕아 수중 통신에 부적합한 환경"이라며 "이번 시연은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수중 통신망의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수중 기지국 기반 통신망은 크게 '수중 센서-수중 기지국-해상 통신 부표'로 구성된다.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는 기지국을 거쳐 해상 통신 부표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가 다시 위성·LTE 등 통신망을 거쳐 지상으로 전송되는 구조다. 물속에서는 음파를, 공기 중에서는 전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연구진은 지난 30일 진행된 기술 시연에서 문자, 사진, 센싱정보 등을 전송했다. 가상 수중기지국에서 가상 해상부이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아직 수중기지국이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은 상태다. SK텔레콤은 오는 10월까지 호서대와 기지국 기반 수중통신망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서해안에 구축할 방침이다.
수중 통신기술은 ▲국방 ▲수산자원 보호 ▲해양 탐사 및 플랜트 ▲해양 환경 모니터링 및 연구 ▲해양 안전 분야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기지국 주변 수중 소음 센서를 활용해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고, 해양 선박 사고가 발생했을 때 수중 기지국을 설치해 잠수부·수중 로봇 등이 통신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바닷물의 해류·수온·염도·조류 속도·PH(수소이온농도)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무 발생 우려 지점과 어장 형성 지점 등의 예측도 가능하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2015년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해양 장비 개발 및 인프라 구축사업의 일환인 '분산형 수중 관측·제어망 개발' 국책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호서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경북대, 인하대, 중앙대, 상명대, 한양대 등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국책과제 3차연도인 올해까지 수중 기지국과 해상부이시스템 등 백본망(Backbone Network)에 관한 연구·개발 마무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4~5차연도에는 수중기지국-센서노드간 통신시스템 개발과 해상부이-수중기지국-센서노드간 통신시스템을 통합할 예정이다. 6~7차연도에는 육상망과 수중망을 연동하고 빅데이터 분석 관련 연구·개발도 끝낼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현재 재난망(PS-LTE), 철도망(LTE-R), 해상망(LTE-M) 및 수중망(DUMCN)에 대한 독립적 설계 및 연동 설계 기술 능력을 국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며 "센싱 기반의 IoT 망 설계 최적화 경험을 최대한 활용해
해외에서는 미국과 유럽·중국 등이 해양환경 관측과 연안 감시, 수중 이동체 통신 등을 위한 국가 주도의 유·무선 기반의 수중 통신망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기지국 기반의 실험망 구축 시도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