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밥상의 대표격인 '쌀밥'이 단백뇨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대 을지병원 신장내과 이성우 교수는 1998~2007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쌀을 일평균 1회 이하로 섭취하는 집단(이하 쌀 소량 섭취 집단)이 1회 초과 섭취하는 집단에 비해 단백뇨를 보일 위험성이 약 46%나 높다고 29일 밝혔다.
당뇨 및 고혈압 변수를 감안할 경우 그 위험성은 54%로 더 높아졌다. 이는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이 단백뇨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과 거의 유사한 수치다.
쌀 섭취 감소시 단백뇨에 대한 위험은 65세이상 고령, 여성, 당뇨가 없는 군에서 각각 55%, 73%, 66%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쌀 소량 섭취 집단은 전체의 약 17%로, 주로 젊은 층이며 그 중에서도 여성이 많은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이들은 과일이나 야채보다는 주로 육류를 섭취하거나 빵이나 피자 등을 간식으로 먹는 등 서구화된 식습관이 특징이다.
이 교수는 쌀 섭취량과 혈압의 상관관계에도 주목했다. 고혈압 약이 없던 1940년대 고혈압 치료를 위해 쌀밥을 포함한 식단으로 식이 처방한 사실을 토대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이 교수는 향후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 쌀의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단백뇨는 신장기능이 저하됐을 때 나타나는 징후 중 하나로,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과 관련성이 높다. 신체적 증상은 소변 내에 과도한 단백질이 섞여 나와 거품이 생기며, 부종, 심한 피로감을 동반한다.
이 교수는 "신장은 혈액 내 노폐물 제거와 수분대사 조절, 혈압에 관여하는데 서구화된 식습관은 단백뇨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쌀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단백뇨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쌀 섭취 감소가 단백뇨 유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Low rice intake is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