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모(여·38세) 씨는 유방 결절 조직검사 결과 유방암으로 진단, 수술과 함께 항암·방사선 치료를 받던 중 연고지 관계로 병원을 옮겼다. 그런데 이동한 병원에서 조직슬라이드를 재판독한 결과 악성 암이 아닌 '양성' 진단을 받았다.
#박모(남, 48세) 씨는 만성 B형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2013년 10월부터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왔다. 그런데 2015년 12월 황달 증상이 발생해 검사를 받은 결과 담도암 말기로 진단, 이후 상급병원에서 보존적 치료를 받던 중 지난해 2월 사망했다.
암 판정을 위한 정확한 진단을 위한 추가검사와 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진단과정에서 의료진의 부주의로 암 오진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2년 1월~2016년 12월 소비자원에 접수된 오진 관련 의료피해 구제 신청은 총 645건으로, 그 중 암 오진이 374건 (58.0%)으로 가장 많았다.
↑ [자료제공 : 한국소비자원] |
폐암 오진 71건 중 의료진의 책임으로 판단되는 54건의 75.9%(41건)는 암이 상당히 진행된 3~4기에서 진단됐다. 유방암(55건)의 경우 의료진의 책임으로 판단된 43건을 분석한 결과 다른 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검진(37.2%, 16건)에서 오진율이 높았다.
의료진의 책임으로 판단된 암 오진 피해 259건 원인으로는 추가검사 소홀(37.8%, 98건)과 영상이나 조직의 판독오류(33.6%, 87건)가 가장 많았다. 그 외 영상의 화질이 좋지 않거나 조직검체가 부족해 평가가 어려운 검사(검체) 부적절이나 추적관찰(간격) 지연, 설명 미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유형으로는 상태 악화가 49.4%(128건)로 가장 많았고, 사망 22.8%(59건), 진단지연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한 치료지연 17.4%(45건), 암이 아닌데 암으로 오진해 수술한 불필요한 수술·치료 8.1%(21건) 순이었다.
의료진이 '암인데 암이 아닌 것'으로 오진한 342건 중 의료진의 책임으로 판단된 240건의 암 진단지연 기간을 분석한 결과, 1년 이하가 69.6%(167건)를 차지했고 '1년 경과' 후 암이 진단된 피해는 22.9%(55건)로 나타났다.
소비자원 측은 암 조기진단 및 오진 피해예방을 위해 ▲국가암검진 프로그램 및 7대암 검진권고안 지침에 따라 검진을 받고 ▲건강검진이나 진료 전 자신의 병력℉증상에 대해 상세히 고지하며 ▲의사의 정당한 지시에 따라 진료를 충실하게 받은 후 ▲검사결과에 대해 의사에게 설명을 요구해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반드시 추가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한편 현행 암관리법상 국가암검진 대상 암종은 5대암인 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 자궁경부암으로 폐암은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암 조기진단 및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올해 보건복지부는 폐암 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국립암센터 및 관련학회에서는 폐암이 포함된 암검진권고안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폐암을 국가암검진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암 검진의 품질 관리를 위해 '폐암 적정성 평가 지표' 항목에 '추가검사 시행 적절성 및 설명 비율'을 포함시키는 방안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