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이후 이어지던 경기 회복세가 한풀 꺾이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앞으로 연말까지 경기 상방 요인은 적고 하방 요인은 수두룩해 새 정부 경제팀이 위기관리 능력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2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6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100.57로 전달(100.60) 대비 0.03포인트 떨어졌습니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지난 3월 100.64에서 4월 100.62로 소폭 하락했고 5월(100.60)과 6월(100.57)까지 3개월째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6월부터 13개월째 상승세를 나타내는 OECD 전체 경기선행지수를 역행하는 것입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 이상이면 경기가 확장적 국면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직 한국의 OECD 경기선행지수가 100을 넘어 경기가 확장적 국면에 있지만 지수 자체가 낮아지면서 회복세가 다소 제약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14년 10월(100.0) 이후 매달 100을 넘었고 지난 4월(100.64)에는 2011년 3월(100.78)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OECD 경기선행지수가 꺾이면서 경기 조정 국면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실제 전체 산업생산은 지난 3월 전월 대비 1.3% 증가했으나 4월 1% 감소한 데 이어 5월(-0.2%)과 6월(-0.1%)까지 3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산업생산이 석 달 연속 감소한 것은 2013년 5∼7월 이후 약 3년 11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소비심리 개선이 실제 지표로 이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 3월 96.7에서 4월 101.2로 기준값을 넘어선 뒤 5월 108.0, 6월 111.1, 7월 111.2로 상승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했고, 특히 7월 지수는 2011년 1월(111.4) 이후 6년 6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 증가율은 3월 -0.3%(전월 대비), 4월 0.7%, 5월 -1.1%, 6월 1.1% 등으로 꾸준한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매판매 선행 지수로 해석됩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하면 1∼6개월 후부터 본격적으로 소매판매가 상승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는 앞으로 연말까지 뚜렷한 경기 호재는 없고 악재로 이어질 수 있는 불확실성이 가득하다는 점입니다.
대내적으로는 8·2 부동산대책 영향으로 지난해 경기를 뒷받침한 건설 경기 성장세가 꺾일 우려가 제기되고 있고 살충제 달걀 파동 여파도 생활물가 불안으로 내수 위축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북한과 미국 간 긴장 고조,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장기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논의 돌입, 미국 금리 인상 본격화 등 리스크 요인이 수두룩합니다.
특히 최근 고조된 북한과 미국의 갈등으로 부도 위험 지표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1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는 모습입니다.
이 때문에 연말까지 새 정부 경제팀이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나가느냐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경제팀은 이전 정권보다 양호한 상황에서 정권을 잡았습니다.
지난해에서 넘어온 초과 세수가 9조8천억 원에 달해 추가경정예산(추경) 재원을 초과 세수로 대부분 충당할 수 있었습니다.
반도체 슈퍼 사이클 덕분에 생산, 수출이 활발해진 호재도 누렸습니다.
그러나 호재 요인이 점차 옅어져 가고 있고 위기 가능성이 커지면서 자칫 경기가 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이미 정부가 올해 목표로 삼은 3% 성장률 달성은 어렵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습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북핵 리스크, 투자·소비 위축에 수출도 큰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상황"이라며 "부동산대책이 건설 경기를 가라
그는 이어 "현재 기댈 것은 수출과 추경밖에 없다"라며 "내부적으로 기업의 투자 의욕을 살리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결과적으로 수출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반기보다 성장세가 확대되기보다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