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1일(현지시간) 보유자산 축소를 공식화하면서 우리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가 부실화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미국을 필두로 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시장금리 상승압박이 본격화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북한 리스크로 인해 9개월 만에 순유출로 전환한 외국인 자금 이탈이 속도를 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글로벌 긴축기조 본격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 1천400조원 넘은 가계 빚…취약차주 중심 부실화 우려
2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8.2부동산 대책에도 지난달 은행과 보험사, 저축은행 등 금융권 전반의 가계대출은 8조8천억원 늘었습니다.
가계부채는 지난 6월 말 현재 1천388조3천억원으로, 금융위가 발표한 7월 가계부채 증가액 9조5천억 원과 8월 8조8천억 원을 합하면 9월 중순인 현시점에서 1천400조 원을 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같이 가계 빚이 지속해서 불어나는 가운데, 미국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국내 시장금리 상승세에 속도가 붙을 경우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
BNP파리바의 분석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미국과 유로존, 영국, 일본 등 주요 4개국 중앙은행의 자산매입규모는 보유자산 재투자를 제외하면 현재보다 월 70%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65bp(1bp=0.01%포인트), 독일 국채금리는 100bp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른 한국의 시장 이자율 상승압력이 증가하면, 한국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증가해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악화하고, 이는 가계지출 감소로 이어져 소비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미국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공식화로 시장금리가 상승압박을 받아 빚이 있는 가구들은 부담이 커질 것"이라며 "여기에 미국의 금리 정상화가 계속 진행되면 한미금리 역전으로 한국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을 텐데 이 경우 소비에도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北리스크에 외국인 자금 순유출 전환…"엑소더스 가속화 우려"
미국 연준이 보유자산 축소를 공식화한 데 더해 연말에는 한미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의 엑소더스가 속도를 낼 것으로 우려됩니다.
실제로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기(2005년 8월∼2007년 8월)에 국내 증권시장에서는 모두 19조7천억원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간 바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 리스크(위험)가 고조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32억5천만 달러 빠져나갔습니다. 원화로 약 3조6천650억원입니다.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은 13억3천만 달러, 채권투자자금은 19억1천만 달러 유출됐습니다.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기는 작년 11월(-4억9천만 달러) 이후 9개월 만입니다. 특히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순매도는 작년 1월(-23억1천만 달러) 이후 19개월 만입니다.
국제금융센터 김권식 신흥시장팀장은 "미국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가 채권시장의 수급에 영향을 미치면서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되면 신흥국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이 조정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미국 투자자들은 JP모건의 신흥국채권상장지수펀드에서 7월 6억8천만 달러, 8월 1억1천만 달러를 회수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최대 규모로 돈을 뺐습니다.
◇ 원/달러 환율 상승 전망…"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유의해야"
통상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화 강세가 심화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 확대에 도움이 됩니다.
미국 금리 인상 자체가 경기 호조를 반영하기 때문에 역시 한국경제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반면 미국 금리 상승이 국제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져 신흥국 경기가 침체될 경우에는 수출에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자산축소 역시 금리 인상과 비슷한 효과를 낳는다. 다만 금리 인상보다는 달러화 강세 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 경제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올해 1∼7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3% 급증, 세계 10대 수출국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습니다.
정부는 자산축소 계획을 골자로 한 이번 FOMC 결정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미 예견돼온 시나리오에 따라 미국이 단계적인 금리 인상이나 자산축소에 나서기로 한 만큼 이미 금융 및 실물시장에 선반영돼 있다는 설명입니다.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의 보유자산 축소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제금융센터 김 팀장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외국인 투자자금도 유출될 수 있는 만큼, 한국은행은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