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내 에이즈 감염인이 2012년부터 연평균 1000명 가량 늘어 지난해 기준으로 1만명이 넘지만, 감염인의 5.5%는 치료를 중단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즈 치료율이 점차 높아지는 상황이지만 감염인 관리 소홀이 에이즈 관련 대책의 '구멍'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승희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HIV/AIDS 감염인 신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HIV/AIDS(후천면역결핍증후군) 생존 감염인은 1만1439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2년 HIV/AIDS 생존 감염인 7788명에 비해 3651명 증가한 수치다. HIV/AIDS 감염 신고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868명, 2013년 1013명, 2014년 1081명, 2015년 1018명, 그리고 2016년 1062명으로 에이즈 신규 감염인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최근 5년간 신고 감염인은 한해 평균 1008명씩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달 기준 최근 1년간 연락불가 HIV/AIDS 감염인은 총 660명이었다. 전체 등록된 감염인 1만2039명의 5.48%를 차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감염인이 주소지 또는 전화번호를 변경했을 시 보건소장에게 이전 및 변경 신고 등을 할 의무가 없기에 파악이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감염인의 연락두절이 치료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며 "질병관리본부가 제출한 최근 5년간 HIV/AIDS 감염인 진료현황에 따르면, 2011년 이후 등록된 생존 감염인 중 치료율은 매년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HIV/AIDS 감염인 진료받은 이들은 1만795명이었다. 이는 등록된 생존 감염인(1만1440명)의 94.4%에 달한다. 최근 5년간 HIV/AIDS 미진료 인원수는 2012년에 630명, 2013년 744명, 2014년 653명, 2015년 619명, 2016년 645명으로 평균 650여명의 인원이 진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HIV/AIDS는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할 경우 감염위험이 96% 감소한다. 따라서 감염인의 건강관리 및 타인의 전파예방을 위해서는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HIV/AIDS 진료비의 90%는 건강보험에서, 급여 중 본인부담금 10%는 환자가 지역 보건소에 실명으로 등록할 경우 국비와 지방비로 지원되고 있다. 그럼에도 감염인들은 실명 등록을 꺼리거나, 아예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보건소와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감염 사실이 알려질까 걱정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에이즈도 치료 및 관리를 통해 전파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됐지만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바꿀 수 있는 정부대책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며 "에이즈 환자들이 보건소의 관리를 통해 자발적으로 치료에 참여하고, 전파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HIV/AIDS 감염인을 진단하거나 감염인의 사체를 검안한 의사 또는 의료기관은'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제5조와'감염병의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