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18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2018 1회 퓨처포럼'을 개최하고 5G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으로 점진적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KT는 이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한 자율주행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지난 2015년부터 준비해온 ▲5G 인프라, ▲5G-차량-만물간 통신(V2X)기술, ▲정밀 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선보였다.
KT는 향후 5G 자율주행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기 위해 판교와 대구 등에서 추진 중인 자율주행 실증단지 사업과 이를 통한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계획도 공개했다.
기존 자율주행 차량은 센서와 라이다 등 자체 감지능력에만 의존해 운행됐다. 이로 인해 돌발상황 대처 등에 미흡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KT는 4대 핵심기술이 적용된 '5G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가 동시에 연결돼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어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KT는 평창 5G 시범서비스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5G 네트워크를 구축해 자율주행 플랫폼의 기반을 형성한다. 전파 도달거리가 넓은 3.5Ghz(기가헤르츠) 대역으로 전국 커버리지를 구축하고, 도심지역에서는 속도가 빠른 28Ghz 대역을 추가로 활용할 계획이다. 5G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곳은 기존 LTE망을 사용해 끊김 없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로 위를 달리는 상황에선 시시각각 네트워크 접속환경이 변한다. 이 때문에 모든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5G의 '빔 트래킹' 기술과 '5G-LTE 연동'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에 최적화된 종합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완성할 계획이다.
초저지연으로 차량 연결성을 제공하는 5G-V2X기술은 KT의 5G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교통인프라가 1~7ms(밀리세컨트·1000분의1초) 수준의 초저지연으로 연결해준다. 이로써 센서 방식의 기존 자율주행보다 더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KT는 현재 위치를 최대 30cm 단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플랫폼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정밀측위 기술을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접목하면 주행중인 차선까지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인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KT의 자율주행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차량 위치나 센서 정보를 수집한 후, 관제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 교통신호 제어를 하는 등의 지능형 관제를 할 수 있다.
KT는 이러한 4대 핵심 기술을 토대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5G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한다. 이 플랫폼은 개방형으로 구축해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KT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경기도 성남의 '판교제로시티'에서 다음 달부터 5G 자율주행버스를 선보인다.
이를 위해 5G와 LTE 기반의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한
[디지털뉴스국 김제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