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일하는 의사·간호사 등 의료인 6명 중 1명꼴로 결핵균에 감염은 됐지만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인 '잠복결핵 양성감염자'라는 분석이 나왔다. 잠복결핵은 증상이 없고 몸 밖으로 결핵균이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결핵균이 전파되지 않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결핵으로 발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복결핵 소지자의 약 10%는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하고 90%는 단순히 잠복결핵감염 상태를 유지한다.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박윤수(감염내과)·강중구(외과)·서정훈(소화기내과) 교수팀이 의료인 1655명(남 423명, 여 1232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유병률이 16%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의료인은 간호사 777명(47%), 의사 158명(10%), 기술자 210명(13%), 시설관리·보조원 331명(20%), 관리직원 155명(9%), 약사 24명(2%)이었다. 잠복결핵 진단에는 피부반응검사(TST)보다 정확도가 높은 '인터페론-감마분비검사법(IGRA)'이 사용됐다.
직종별 잠복결핵 유병률은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의사가 24%(38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시설관리·보조원 22%(73명), 기술자 20%(41명), 관리직원 15%(24명), 간호사 12%(94명), 약사 4%(1명) 순이었다.
이처럼 의료인의 잠복결핵 양성률이 높은 이유는 호흡기질환 환자가 많은 병원의 특성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결핵균은 통상 환자가 기침할 때 분비하는 침방울 등을 통해 전파되는데 접촉자의 약 30%에서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의료인의 잠복결핵 유병률이 높긴 하지만, 일반 인구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 질병관리본부 조사에서는 국내 잠복결핵 유병률이 조사 대상 직군에 따라 최소 2.1%에서 34%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다만, 의료인의 잠복결핵 비교 위험도(OR)는 나이가 많을수록(2.2배), 남성일수록(1.5배), 활동성 결핵 환자와 접촉할수록(1.5배), 당뇨병일수록(2.8배)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조사 대상자 중 결핵 예방 BCG 백신 접종률은 65%에 머물러 병원 내 결핵 감염관리 조치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의료기관 종사자는 2016년 결핵예방법 개정에 따라 매년 결핵 검진을 받아야 한다. 또 근무 기간 1회에 한해 잠복 결핵 감염 검진도 의무화됐
연구팀은 논문에서 "의료인은 결핵 감염과 발병 위험이 상당히 크고, 실제 다제내성 결핵 등의 병원 내 발병에 대한 기록들도 있다"면서 "효과적인 결핵 감염관리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일반 인구에 대비한 의료인의 결핵 상대 위험도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