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로 총 99곳을 선정했다. 작년 시범사업지에는 68곳을 선정됐으나 올해는 지방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 등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지를 99곳으로 대폭 확대했다. 반면 서울의 경제기반형 등 대규모 재상사업장은 부동산 시장 과열로 배제됐다.
정부서울청사에서 31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는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도시재생 뉴딜은 사업 종류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살리기(5만㎡ 이하), 주거지지원형(5만∼10만㎡), 일반근린형(10만∼15만㎡),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기반형(50만㎡) 등 5개 유형으로 나뉜다.
올해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는 유형별로 우리동네살리기 17곳, 주거지지원형 28곳, 일반근린형 34곳, 중심시가지형 17곳, 경제기반형 3곳이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9곳으로 가장 많고 전남, 경북, 경남이 각 8곳, 서울과 부산, 대구, 강원, 전북이 각 7곳, 충남 6곳, 인천과 광주 각 5곳, 울산과 충북 각 4곳, 대전 3곳, 제주와 세종 각 2곳 등이다.
이들 지역에서 제시된 총사업비는 국비 1조288억원을 포함해 지방비, 민간투자 등 총 13조7724억원 규모다.
올해 선정된 도시재생 사업지 중 80곳은 국토부 외 관계부처 연계사업 382개를 포함했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 중 공공기관 제안 사업의 경우 8개 공공기관이 제안한 15곳이 선정됐다.
도시재생 지역에는 청년 창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어울림 플랫폼과 복합커뮤니티 공간 등을 조성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지역 영세상인을 지원하는 공공임대상가 32곳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사업은 대구 북구 경북대(중심시가지형), 광주 북구 전남대(중심시가지형) 등 4곳이 선정됐으며,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사업은 울산 동구(일반근린형) 등 5곳이 선정됐다.
공공임대 주택은 64곳에서 6265세대를 조성하고, 소규모 정비사업과 집수리사업을 62곳에서 3408세대 규모로 시행한다.
한편 작년 시범사업지 선정때 아예 배제됐던 서울은 이번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로 포함될지 관심이 높았다. 서울에서는 대형 사업으로 동대문구 장안평 차시장과 홍릉, 청량리 제기동, 종로구 세운상가, 금천구 독산동 우시장 등 5곳에서 신청, 국토부는 이 중 장안평 차시장(경제기반형)과 세운상가(중심시가지형), 독산동 우시장(중심시가지형) 3곳을 후보지로 뽑았다.
정부는 뉴딜 사업지의 부동산 시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사업 추진이 부진하거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경우 사업 선정을 취소하거나 이듬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 불이익을 줄 계획이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