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이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모바일 상품권 판매금액 1조170억원 중 67.7%에 해당하는 6878억원이 프랜차이즈 업종에서 사용됐다.
커피전문점이 19.6%로 가장 많았고, 빵집이 16.6%, 아이스크림 14.5%, 햄버거·치킨 12.1%, 편의점 4.7% 등이 뒤를 이었다.
나머지 32.3%는 마트·백화점 등의 지류 상품권과 영화·전시, 외식 등의 분야가 차지했다.
정부는 모바일 상품권이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종이 상품권과의 조세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에도 인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1만∼5만원은 200원, 5만∼10만원은 400원, 10만원 초과는 800원의 인지세를 붙일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한 해 115억원의 세수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모바일 상품권은 소액에다 생활 밀착형으로 많이 쓰이다 보니 인지세 부과는 곧 자영업자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인지세 부과를 강행할 경우 모바일 상품권 금액 인상으로 이어져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위축되고 매출에 큰 혜택을 봐왔던 프랜차이즈 자영업자들에게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상대적으로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빈도가 높은 젊은 층의 부담이 늘어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제로 모바일 상품권 구매자 중 20대(37.3%)와 30대(35.2%)가 72.6%를 차지
조 의원은 "세수 115억원을 더 걷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에 인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은 절벽 끝에 서 있는 자영업자의 등을 떠밀고 청년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꼴"이라며 "기획재정부는 해당 세법 개정안을 재검토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디지털뉴스국 오현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