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지급해주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자 수가 최근 크게 늘었습니다.
실제 경남 거제와 창원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금보다 집값이 더 내려가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전세'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정주영 기자입니다.
【 기자 】
경남 창원시의 한 아파트 단지.
최근 매매 가격이 전세 가격 아래로 추락하면서 분위기가 흉흉합니다.
2년 전 전용면적 85제곱미터의 전세 가격은 2억 7천만 원.
당시 3억 원을 넘던 매매 가격은 현재 2억 4,500만 원으로 곤두박질 쳤습니다.
집을 팔아도 전세 보증금을 다 돌려주지 못하는 일명 '깡통 전세'가 된 겁니다.
▶ 인터뷰(☎) :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
- "분위기는 별로 안 좋죠. 집주인들은 일단 만기가 되면 돈을 돌려줘야 할 의무가 있으니까 돌려줘야죠, 어떤 방법으로든."
비단 창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조선업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거제 등 지역 경기 침체와 입주 물량 증가가 겹친 도시에선 매매 가격 하락에 따른 '깡통 전세'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덕례 /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거나 대출이 많지 않은 집, 권리관계가 복잡하지 않은 집에 전세를 구하는 것이 임차인 입장에서 유리…."
지방이지만 집값이 오른 곳도 있습니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를 피해 '풍선효과'가 나타난 광주와 대전 지역입니다.
▶ 스탠딩 : 정주영 / 기자
- "이 아파트의 전용 135제곱미터는 반년 만에 2억 원 넘게 뛰어 8억 원 후반에 거래됐습니다. 현재 호가는 10억 원에 육박합니다."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지는 가운데, 공급 과잉에 따른 미분양 해소를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MBN 뉴스 정주영입니다.
영상취재 : 박인학·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 이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