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연합뉴스] |
"공은 넘어왔다."
정부가 올해 총 6곳의 신규 시내면세점 특허를 발급하기로 결정하면서 면세업계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추가 신규 매장이 필요하지만 중국 단체관광객 대신 '따이궁(보따리상)'에 의존하는 현재 상황으로서는 수익성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보세판매장(면세점) 제도운영위원회를 열어 대기업 시내면세점 신규특허를 추가로 5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3개, 인천 1개, 광주 1개다. 충남 지역에는 개별 중소·중견기업 시내면세점 1개 특허 발급이 가능하다.
대기업 면세점의 경우 지역별 면세점 매출액이 전년대비 2000억원 이상 증가하거나, 외국인 관광객이 20만명 이상 증가했을 때 신규 특허를 낼 수 있다. 관세청은 위원회 심의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안에 지역별 특허 신청 공고를 낸 후 오는 11월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서울 시내면세점은 올해 총 16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4년 전인 2015년(6개)와 비교했을 때 3배 가량 늘어난 규모다. 경쟁사가 늘어날수록 면세업계 수익을 뒷걸음칠 수밖에 없다. 이를 두고 면세업계는 '치킨게임'을 우려하고 있다. 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시장에 공을 넘긴 것"이라며 "길을 터주고 운영 결과는 선택자의 몫이라는 얘기"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 대기업 시내면세점은 롯데면세점(3개), 신라면세점(1개), 신세계면세점(2개), 현대백화점면세점(1개), HDC신라면세점(1개), 두타면세점(1개)로 총 10곳이다. 지난 1분기 매출 기준 면세시장 점유율은 롯데가 37.8%, 신라가 31.1%, 신세계가 17.9%로 사실상 3강 독점체제다.
각 사업자들은 일단 "사업성을 검토한다"는 입장이지만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 경쟁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점유율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면세점은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점유율이 50%에서 급락해 신라면세점의 추격을 받고 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일매출 20억원을 넘보면서 '4강 체제'를 만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면세업계는 신라면세점의 '서울 2호점'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합자회사인 HDC신라를 제외하고 서울 중구 장충동에 33년째 단 1곳의 면세점만 운영 중이다. 광주에서는 신세계백화점 광주점과 연계한 신세계면세점의 출점이 이뤄질 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서는 현대백화점면세점이 2020년 문을 여는 여의도 현대백화점에 면세점을 유치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다만 승자의 저주가 우려된다. 현재 국내 면세업계는 여행사에 송객수수료를 지불하고 따이궁을 유치해 외형을 유지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송객 수수료는 총 1조3181억원으로 3년 전인 2016년(9672억원)대비 36% 증가하는 등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품 마진의 30~40%를 송객수수료로 지불하니 수익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기형적 시장 구조에 대기업인 한화갤러리아마저 철수를 선언하면서 신규 특허 경쟁에 신중을 기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앞서 갤러리아63은 3년간 1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당초 사업 종료시점보다 1년반 앞당긴 오는 9월 영업을 종료하기
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3년 전까지만해도 매장을 열기만 하면 수익이 됐기 때문에 시내면세점 특허가 나오기만을 바랬었다면 현재로썬 내부적으로도 사업성을 먼저 따져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이라며 "한동안 면세업계에서 신규 특허 눈치싸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신미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