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7일은 세계고혈압연맹이(WHL·World Hypertension League) 지정한 세계고혈압의 날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975년 6억명이던 세계 성인 고혈압 인구는 2015년 11억명이상으로 증가했다. 40년만에 2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고혈압 진단기준 강화와 함께 식·생활습관에 의한 환자 증가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실제 고혈압 환자는 이보다 많은 15~20억명 이상이며, 세계 인구의 25~30%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단일 질환으로는 최대 인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30세이상 성인 중 고혈압 환자는 26.9%로 30세이상 성인 4명중 1명은 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세계 사망위험 요인 1위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은 혈압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는 혈압이 심각한 수준까지 올라가도 증상이 없다.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대한고혈압학회 간행이사)는 "머리가 당긴다거나 둔한 느낌의 두통 등을 고혈압 증상으로 오인한다. 하지만 고혈압은 증상이 전혀 없다가 심장발작이나 뇌졸중처럼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높은 압력은 심장과 혈관에 부담을 준다. 이 때문에 잘 조절하지 않으면 출혈성·허혈성 뇌졸중,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신부전, 망막증, 대동맥박리증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한다. WHO의 연구결과 전 세계 사망에 대한 위험요인 1위는 고혈압이었다.
정 교수는 "진단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치료의 필요성을 쉽게 느끼지 못하지만 고혈압 합병증으로 인한 결과는 돌이킬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이기 때문에 개인을 넘어 사회적으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140/90 기준 하향 조정 추세···고혈압 전단계부터 '위험'
고혈압이 세계적인 문제라는 사실은 1950년대부터 인지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해 1970년대 WHO 및 미국 국가고혈압 교육 프로그램이 널리 알려지게 되면서 체계적인 관리의 길로 접어들게 됐다. 고혈압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그러나 미국심장학회는 2017년 11월 고혈압 환자의 진료지침을 수축기 130mmHg, 이완기 80mmHg로 하향 조정했다. 정 교수는 "고혈압 전단계인 사람들도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생활습관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어 고혈압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에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도 세계적인 흐름을 반영해 2018년에 정상혈압(120/80)과 고혈압(140/90) 사이를 '주의고혈압'(120~129/~80)과 '고혈압전단계'(130~139/80~89)로 세분화한 진료지침을 발표했다.
◇치료의 시작은 진단···'진짜 혈압'을 찾아야
고혈압 치료는 정확한 진단으로부터 시작한다. 진료실에서 혈압을 잴 때 유독 혈압이 높다거나, 반대로 병원에서는 정상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혈압이 높은 경우도 있다. 정 교수는 "아침에 일어나서 1시간 이내에 화장실에 다녀온 뒤 15분 후, 1분 간격으로 2번을 재고, 잠들기 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해서 나온 가정 혈압이 본인의 진짜 혈압"이라고 말했다.
혈압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약물 치료를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흔히 1차성 고혈압으로 불리는 '본태성 고혈압'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이다.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본태성 고혈압은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 및 가족력(유전적 성향)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정 교수는 "체중이 1kg만 감소해도 수축기 혈압이 1mmHg는 감소할 수 있고, 이는 약물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 이상의 큰 의미를 갖는다"며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 저염소식의 식이요법, 금연, 절주, 운동 등 생활습관을 조절함으로서 혈압을 낮추는 것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젊은층도 평생 약복용 걱정말고 전문의 도움받아야
고령이거나 가족력에 의한 고혈압,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 환자에 맞는 약물 치료로 혈압을 조절해 나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연령 증가에 따라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지는 경우 생활요법만으로는 목표 혈압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다양한 고혈압 치료제를 환자 특성에 맞도록 병합해 올바르게 처방받는다면 고혈압은 충분히 조절이 가능한 질환이며, 약제 복용과 더불어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는 것은 100세를 맞이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