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5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뎅기열 바이러스 모기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외에서 뎅기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는 있었지만 뎅기열 바이러스 모기 자체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제 4군 법정 감염병으로 구분되는 뎅기열은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유행하는 질환으로, 휴가철 해외 감염으로 주의가 필요한 정도였지만 이제는 국내도 안심할 수가 없게 됐다.
일반적으로 뎅기열 바이러스 모기에 물리면 일반 모기와 같이 물린 부위가 부풀어 오르며 간지러운 증상을 보인다. 다른 점은 뎅기열 바이러스의 경우 3일에서 8일간 잠복기가 지나면 갑작스런 고열과 두통, 근육통, 피부발진, 출혈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는 것이다. 특히 두통이 심한 경우 시중에서 구하기 쉬운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하는데, 뎅기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진통제 종류에 따라 장기 출혈이 촉진될 가능성이 있어 위험하다.
뎅기열은 증상이 심해질 경우 생기는 뎅기쇼크증후군을 조심해야 한다. 뎅기열 증상이 생겼다가 열이 내려가며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뎅기쇼크증후군의 특징인데, 갑자기 백혈구와 혈소판이 급감하면서 장기나 뇌 부위에 출혈이 생겨 상태가 급속히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번에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바이러스는 4개의 뎅기열 바이러스 종류 중 혈청형2 바이러스(DENV-2 Virus, 이하 2형 바이러스)에 속한다. 뎅기열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한 번 감염되면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에 재감염 되지 않는다. 2형 뎅기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다시 2형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는 않는다는 것. 문제는 다른 종류의 뎅기열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이다.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박소연 교수는 "2형 바이러스 감염자가 해외에서 나머지 종류(1,3,4형 바이러스)의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에는 중증감염 상태가 되어 쇼크와 출혈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뎅기열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백신은 없으며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도 없다. 최선의 예방법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고 감염된 이후에는 주로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가 전부이다. 뎅기열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백신은 있지만 이미 감염된 사람에게만 접종이 가능하며, 바이러스의 특성상 감염된 사람
박소연 교수는 "뎅기열 바이러스 발생 지역인 동남아 국가를 여행하다가 갑자기 고열과 두통,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뎅기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반드시 인근 병원에 방문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