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부담이 20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2%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3.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노력에도 불구하고 민간 소비가 늘어나지 않았던 이유가 빚을 갚느라 소비할 여력이 없었던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자상환비율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연 1.25%)로 내린 시기인 2017년 1분기 2.1%로 낮아졌다가 이후 오름세로 돌아서 2년 반 동안 1.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가 반등하고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정 수준 이상 이자상환비율이 높아지면 가계부채가 민간소비를 위축하는 효과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이자상환비율 임계치는 2.5% 수준이다. 이 비율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가계의 이자상환부담 증가로 소비위축 압력이 가중될 우려가 생긴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상환비율은 2017년 4분기(2.5%) 이후 이 보고서가 추산한 임계치를 계속 웃돌고 있다.
이같은 이자상환 부담 관련 지표는 최근 제기되는 과다한 가계부채 총량이 민간소비를 압박한다는 지적에 무게를 더한다.
우리나라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기준 18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회원국 평균치(130.6%·2018년 기준)를 크게 웃돌고 있다. 2013~2018년 민간소비는 연평균 2.35% 증가해 같은 기간
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경기 전망이 좋을 때는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최근처럼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찬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