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교역량 부진 등으로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가 7년 만에 가장 작았습니다.
수출 부진에 상품수지 흑자는 줄어든 반면 여행수입 증가로 서비스수지 적자는 축소됐습니다.
오늘(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599억7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냈습니다.
2012년(487억9천만달러) 이후 7년 만에 가장 작은 흑자폭입니다. 다만 외환위기 시기였던 1998년 이후 이어온 흑자 기조는 22년째 이어졌습니다.
경상수지 흑자폭 감소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세계경기 둔화와 주력품목인 반도체 경기 부진 등의 여파로 수출이 크게 부진했던 탓입니다.
작년 상품수출(5천619억6천만달러)은 전년보다 10.3%(643억1천만달러) 줄었습니다.
상품수입(4천851억1천만달러) 역시 6.0%(310억7천만달러) 감소했는데 유가 하락과 반도체 부진에 제조용 장비 수입이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 수출 부진으로 수입도 감소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상품수지는 768억6천만달러 흑자로, 흑자폭이 전년보다 332억3천만달러나 감소했습니다.
수출 둔화에 상품수지가 악화한 반면 서비스수지와 본원소득수지는 개선됐습니다.
지난해 서비스수지 적자는 230억2천만달러로 전년보다 적자폭이 63억5천만달러 줄었습니다.
여행수지 적자가 2018년 165억7천만달러에서 작년 106억7천만달러로 축소한 게 서비스수지 개선에 도움을 줬습니다.
여행수입은 중국인, 일본인 입국자 수가 크게 늘면서 역대 최고치인 216억3천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여행지급은 323억달러로 전년 대비 28억3천만달러 줄었습니다.
서비스수지 중 운송수지도 적자폭이 2018년 25억1천만달러에서 작년 16억2천만달러로 감소했습니다.
연간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122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기업이 해외 현지법인으로부터 받는 배당금이 늘면서 배당수입(226억8천만달러)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배당소득수지가 33억2천만달러 적자에서 33억1천만달러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해외 이자수입(182억4천만달러)이 늘면서 이자소득수지도 전년보다 1억3천만달러 늘어난 95억2천만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역시 역대로 가장 많은 흑자 규모입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신종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 세계경기 전체가 위축될 수 있고, 이는 수출에 상당한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현시점에서 경상흑자에 미치는 영향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수출 둔화에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줄어들면서 지난해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3.5∼3.6%가량으로 추정됐습니다.
이 경우 유럽 재정위기가 닥친 2012년(3.4%) 이후 최저가 된다. 2017∼2018년에는 모두 4.1%였습니다.
한편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09억5천만달러 늘어났습니다.
직접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역대 2위 규모인 355억3천만달러로 불어났습니다. 국내 대기업들이 시장진출과 기술도입 목적으로 해외 현지 법인들을 인수·합병한 영향입니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105억7천만달러 불어났습니다.
증권투자에선 해외 주요 증시 호조 속에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가 585억8천만달러 커졌습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84억6천만달러 늘었습니다.
파생금융상품은 59억7천만달러,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14억7천만달러 각각 늘었습니다.
지난해 12월 한 달만 보면 경상수지는 43억3천만달러 흑자를 내 8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반도체 수출 부진에 상품수지 흑자가 50억3천만달러로 1년 전(66억3천만달러)보다 16억달러 줄어들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25억달러 적자를
배당소득이 늘어난 영향에 작년 12월 본원소득수지는 26억8천만달러 흑자를 봤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