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둘러 해운업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한 것은 그만큼 해운업황의 부진이 심각하고 위기도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 때문입니다.
다만 해운사 영업 특성을 고려해 신용위험 평가 등급은 발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정광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해운업종에 대해 구조조정의 칼끝을 겨눈 건 그만큼 해운업종이 처한 위기가 심각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2004년 말 73개사, 총 471척을 보유했던 국내 해운사는 해운업 호황을 배경으로 지난해 말에는 177개사에 보유 선박이 819척까지 늘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글로벌 경기 침체는 해운업을 '백척간두'의 위기로 내몰았습니다.
벌크 화물 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한 발틱운임지수, BDI는 지난해 5월 1만 1,000선을 넘기도 했지만 3월 초 2,000선까지 떨어졌습니다.
8개월 만에 수익성이 6분의 1로 악화되면서 대형 업체들마저도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배를 빌려 화물을 나르는 용선계약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해운업은 특정 해운사의 부실이 다른 해운사로 곧바로 전이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해운사 부도로 발주 취소가 이어지면 조선사와 금융기업 부실로 이어져 해운사발 부실 도미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입니다.
정부는 다만 건설, 조선사와 달리 해운사에 대해서는 따로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발표하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 권혁세 /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 "해운업종은 대부분 해외와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사정을 잘 모르거든요. 한국에서 B, C라고 하면 대단히 문제가 있는 기업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경기 호황을 배경으로 난립했던 해운사들은 역으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구조조정 1순위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mbn뉴스 정광재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