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북한의 로켓 발사로 우리 경제가 또다시 '북한 리스크'에 대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이미 '내성'이 생겼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자칫 경제 전반에 충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습니다.
강태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당장은 우리 경제가 '북한 리스크'에 내성이 생겼다는 입장이 지배적입니다.
근거는 지난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와 2002년 2차 북핵 위기, 그리고 2006년 미사일 발사 이후의 경제 상황입니다.
먼저 대포동 미사일 발사 당시 환율은 14원 올랐지만, 주가는 오히려 5.4p 상승했습니다.
충격이 컸던 2006년 핵실험 당시에는 주가는 32p 떨어지고 환율은 14원 80전 올랐지만, 불과 보름 만에 이전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북한의 '도발'이 더이상 '변수'가 아니라 예측 가능한 '상수'가 됐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국가 신인도입니다.
공교롭게 이번 파문은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국가신용등급 평가와 시기가 맞물려 있습니다.
피치는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낮춰 '부정적'으로 조정했고, 무디스는 지난달 평가를 마치고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무디스는 지난 2003년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에서 탈퇴하자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두 단계 낮춘 바 있습니다.
그나마 신용전망이 그대로 국가신용등급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북한의 도발 이후 국제정세의 변화입니다.
대포동 미사일 발사는 북미 대화의 근거가 됐고, 핵실험은 지지부진했던 북핵 6자회
중장기적으로는 우리 경제에 '약'이 될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다만, 국제사회와의 대화가 아닌 대결구도로 이어진다면, '위험 요소'가 진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강태화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