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를 비롯한 주요기관의 사이트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에 대해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주의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하지만 사건을 확인한 지 무려 6시간이 지나서야 경보를 발령해 늑장대응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지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가 DDoS(디도스) 공격 사실을 파악한 것은 어제(7일) 오후 6시 40분쯤.
오후 7시부터 청와대와 한나라당 등 정부기관은 물론 네이버와 옥션 등 민간 사이트에도 동시다발적으로 접속이 안 되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방통위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은 저녁 9시부터 비상체제에 들어갔지만 정작 '주의' 경보는 6시간 이후 발령했습니다.
▶ 인터뷰 : 이명수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센터장
- "이번 DDoS 공격 자체가 명령제어 서버가 없는 악성코드로 말미암은 DDoS 공격방식으로 확정했고, 그에 따라서 2시 40분에 대국민 주의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자정이 넘어서 발령된 대국민 경보를 아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고, 일반 사용자들의 PC는 무방비 상태로 사이버 공격에 노출됐습니다.
청와대 등 공격대상 사이트들은 오늘(8일) 오전까지도 불통 사태를 겪었습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6시간 이후 경보를 발령한 방통위의 조치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보안업체 관계자
- "국가적인 재난, 또는 국가적인 사이버 안보라는 측면에서 보면 초기대응시스템을 좀 더 빨리 가동했다면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 시켜주고 더 빨리 대처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방통위는 인터넷서비스업체나 개인 사용자들이 직접 악성코드를 진단해 제거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처방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이 사이버 공격을 받아도 제때 대응하지 못하는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의 사이버 보안 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김지훈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