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치명적인 자연재해에 대비한 추가적인 원전 안전성 확보에 분주하다. 원전 공급시장은 원전 강국 일본의 추락을 기회로 삼으려는 원전 메이커 기업들이 시장 선점에 나서면서 요동치고 있다.
정부는 원전 5대 강국 진입을 선언했다. 하지만 탈핵 반핵 운동도 각계로 확산되고 있다. 딜레마에 놓인 한국의 선택은 무엇일지 27일 방송되는 KBS ‘시사기획 창’이 알아본다.
후쿠시마 원전이 냉온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는 일본 노다 총리의 발표가 있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믿지 않는다. 오히려 최소 500톤의 핵 연료봉을 쌓아 놓은 4호기가 지진 등으로 무너질 경우 지금까지의 피해를 넘어서는 더 큰 재앙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일본 원전사고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고 1년을 맞았지만 일본은 여전히 10만 여명이 피난 생활을 하고 있다. 더구나 수도권 일대에 4년 안에 진도 7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70%라는 도쿄대 지진연구소의 발표에 일본 국민들은 패닉에 빠져들고 있다.
후쿠시마 사고로 ‘안전한 원자력 이용‘은 국제사회의 핵심 과제로 등장했다. 3월 26일~27일 ‘서울 핵 안보 정상회의’ 의제에 까지 올랐다. 58명의 최고 정상들은 ‘서울 코뮤니케’에 핵 안보와 안전한 원자력 이용은 직결되는 문제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선언을 담았다. 31개 원전국가들은 각국의 원전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잇따라 대책을 내놓고 있다. 독일과 스위스 등은 아예 핵 폐기를 결정했다.
프랑스와 일본이 양분하고 있던 원전 공급시장도 일본의 추락으로 요동치고 있다. 프랑스 아레바가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UAE 원전 4기를 수주한 한국도 중동 국가 원전 추가 수주 경쟁에 뛰어들었다.
원자력은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장점이 있다. 부존자원이 없는 한국에서는 에너지 안보를 위해 유력한 수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원자력은 가공할 파괴력을 동시에 갖고 있다.
정부는 에너지 안보 등을 이유로 2024년 까지 14기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