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금빛나 기자] 왜 팩션사극 속 주인공들은 ‘왕자님’과 사랑에 빠지는 것일까.
연일 자체최고시청률을 경신하며 승승장구하는 MBC 월화드라마 ‘기황후’는 고려 공녀에서 원나라 제1황후 자리에 오른 기황후의 삶을 그려낸 팩션사극이다. 실존인물인 기황후(하지원 분)와 원나라 황제 타환(지창욱 분), 그리고 기황후의 연적 타나실리(백진희 분)와 가상의 고려왕 왕유(주진모 분)의 흥미진진한 사각로맨스와 빠르게 전개되는 풍성한 이야기들로 중무장한 ‘기황후’는 초반 역사왜곡 논란을 비웃듯 안방극장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방송 전 ‘기황후’는 기황후라는 인물의 엇갈린 역사적 평가와 함께, 고려시대 최고의 폭군 충혜왕을 영웅적 인물로 미화시키며 각종 왜곡논란에 시달렸었다. 그중 가장 비난을 샀던 것은 역사적으로 새어머니와 장모를 겁탈할 뿐 아니라 주색과 살인을 일삼는 등 각종 악행을 저질러 백성들의 원성을 사다, 원에 의해 폐위된 충혜왕을 원나라에 맞선 자주적인 고려의 성군으로 그리려 했다는 점이다. 논란이 잠잠해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결국 제작진은 충혜왕을 왕유라는 가상의 고려왕으로 바꾸기까지 했다.
↑ 사진=기황후 캡처 |
아무리 설정을 가상의 왕으로 변경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그의 모델이 되는 왕은 실존인물 충혜왕이라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아무리 이름을 바꿔도 충혜왕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왕유라는 캐릭터에는 연결고리가 존재하고, 이는 왕유의 업적이 커질수록 마치 ‘충혜왕이 실제로는 성인군자 였다’라고 말하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에 대해 한 시청자는 “차라리 가상 캐릭터면 충혜왕과는 거리가 먼 그런 오리지널 캐릭터를 살리는 게 맞는 것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노력만 있다면 충분히 충혜왕과 연관성 없는 가상의 왕인 왕유의 캐릭터를 만들며 더 흥미 있는 스토리를 짜낼 수 있을 텐데 많이 아쉽다”며 푸념했다.
‘기황후’는 밑바닥에서부터 황궁의 가장 화려한 꽃으로 피어난 기황후의 자수성가 일대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다. 현재 ‘기황후’는 원나라 황실을 배경으로 질투심 많은 황후 타나실리와 기승냥의 서슬 퍼런 대결에 집중된 생태로, 왕유와의 사랑이야기가 드러나지 않음에도 시청률 적으로는 승승장구 하고 있다. 이는 충분히 고려의 왕이 없는 기황후만으로도 매력적이라는 것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애당초 ‘기황후’의 역사논란의 시초는 충혜왕과 기황후의 사랑이라는 다소 억지스러운 설정에서 출발한다. 여자주인공인 기황후가 사랑하는 남자 충혜왕을 만들기 위해 미화작업은 어쩔 수 없이 따라붙게 된 것이고, 이는 역사왜곡 역풍의 시작을 알렸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하나같이 왜 무리해서 고려의 왕이라는 존재를 차용했는지 모르겠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시청자는 “차라리 왕유를 고려 충신의 아들이나 귀족의 아들로 설정하는 것이 훨씬 보기 좋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사진=불의 여신 정이 캡처 |
기본적으로 한 인물의 성공기 혹은 성장기를 그릴 때 유의해야 할 것은 인물 그 자체에만 집중하다보면 자칫 밋밋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많은 드라마들은 인간의 감정 중 가장 위대하다는 ‘사랑’을 조미료로 사용한다. 주인공들의 말랑말랑한 사랑이 극 전개에 있어 일종의 윤활유 역할을 해 줄 뿐 아니라 극의 감칠맛을 더해주기 때문이다.
충남대 윤석진 국문과 교수는 “일종의 공식처럼 굳어져 있는 것 같다. 대부분의 성공담을 다루는 드라마를 살펴보면 애정서사가 서브로 배치되는 정형화 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애정서사가 극을 부드럽게 다루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며 “물론 이러한 부분이 반드시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러다보니 어떤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좋아할 것이라는 일종의 관습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이 등장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인공이 왕자 혹은 왕과 사랑에 빠지는 것에 대해 “기본적으로 판타지라고 봐야한다. 오늘날 시청자들은 왕이나 왕자 혹은 현대물의 재벌2세와의 사랑이 현실에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그래도 많은 시청자들은 드라마를 통해서라도 대리체험을 하고 싶어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방송국들은 이를 건들이면 여성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사랑이 무조건 드라마의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광해와 정이의 사랑을 다룬 ‘불의 여신 정이’는 10% 내외의 저조한 시청률로 조용히
금빛나 기자 shinebitna917@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