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머드 멸종 이유는 무엇일까.
최대 크기 4m에 몸무게는 8~9t에 이르고 온몸이 털로 덮여있던 ‘거대 코끼리’ 매머드의 멸종을 가져온 1만 2,900년 전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가 혜성충돌 때문에 도래한 것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피터 다이(Peter Thy) 미국 캘리포니아대 지구 및 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혜성충돌 가설을 뒷받침 해온 1만 2,900년 전에 쌓인 지층의 불에 탄 흔적과 재가 혜성 충돌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닌 인간이 불을 사용한 흔적”이라고 밝혔다.
1만 2,900년 전 찾아온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신생대 제4기 뷔름빙기)는 여름 기온이 8~9도에 불과한 한랭기였다.
과학자들은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매머드가 주식으로 하는 잔디와 버드나무가 감소하고 영양가가 부족한 침엽수나 독성이 있는 자작나무 비율이 증가해 결국 매머드의 숫자가 급감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가 찾아온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들이 분분한 상태다.
유력한 가설 중 하나가 바로 지구 인근을 지나던 혜성이 중력에 의해 끌려와 충돌하고 충격으로 발생한 재가 대기 중으로 퍼지며 빙하기를 불러왔다는 혜성충돌설이다.
북미에서 발견된 여러 흔적들이 그 증거로 지목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혜성충돌설의 근거로 지목된 지층 속 불에 탄 흔적이 올바른 증거가 아님을 3가지 이유를 들어 반박했다.
먼저 연구팀은 불에 탄 흔적들이 혜성이 충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고온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낮은 온도에 의해 형성된 것들이라고 지적했다.
또 연구팀은 불에 탄 흙과 이 때 만들어진 조각들이 발견된 지역의 흙과 구성성분이 같은 것도 의심스럽다고 설명했다.
천체가 지면에 충돌하면 그 힘 때문에 지표면의 광물들이 대륙을 건널 만큼 먼 거리를 이동하게 되는 데 증거로 발견된 흔적들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이다.
마지막으로 연구팀은 혜성충돌 같은 사건이 있었다면 한 날 한 시에 다량의 흔적들이 만들어졌어야 하는 데 3,000년에 걸친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흔적들이 지층에서 발견됐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연구팀은 “불에 탄 흔적이 출토된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불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충분하다”며 “지금까지 혜성충돌설을 지지해온 흔적들은 사실 당시 신생대말 인류가
한편 연구 결과는 ‘고고학지(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이에 누리꾼들은 “매머드 멸종 이유, 혜성충돌이 아닌가” “매머드 멸종 이유, 정말 궁금하다” “매머드 멸종 이유, 실제로 보고 싶어” “매머드 멸종 이유, 분분하네” “매머드 멸종 이유, 그렇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