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소식이 전해졌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 얼음이 녹으면서 늘어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북극의 온난화를 20% 정도 증폭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지구 온난화 해결사’로 조명 받아 온 식물성 플랑크톤의 ‘두 얼굴’을 밝혀낸 것으로 새로운 지구 온난화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북극의 해빙(海氷)은 여름에 녹았다가 겨울에 다시 얼어붙는다. 얼음은 태양복사에너지를 반사하지만 얼음이 녹은 부분의 바닷물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수온이 올라간다. 일단 한번 해빙이 녹으면 태양빛을 반사하는 양이 줄고 바닷물이 따뜻해지면서 얼음이 더 빠르게 녹는다.
해빙은 특히 지구 전체의 기상과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녹는 속도가 정상 범주를 벗어나게 되면 기상과 기후가 급격히 변하게 된다. 문제는 수온이 올라가면 물속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증식도 빨라진다는 점이다. 식물성 플랑크톤 속 엽록소는 태양복사에너지와 해양 표면층의 열을 흡수해 북극 온난화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20일 포스텍 환경공학부 국종성 교수와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지구 온난화 연구에서 CO₂를 흡수해 온난화를 완화하는 요인으로 간주해 온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온난화를 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온난화 모델에 반영한 것으로 PNAS의 ‘금주 주요 논문’ 중 하나로 선정됐다
연구팀이 실제로 1998∼2013년 북극해 지역별 해수면 온도와 해빙이 녹은 정도, 얼음이 녹아있는 기간, 바닷물 속 엽록소 변화 등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해수면 온도 상승 추세와 엽록소 변화 등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의 역할로 인해 북극 온난화가 20%까지 증폭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국종성 교수는 “현재 대부분의 기후 모형이 최근의 급격한 해빙 감소 및 북극
이에 누리꾼들은 “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온난화 무섭다” “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끔찍하네” “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지구가 병들고 있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