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이다원 기자] 광고총량제 시행으로 일각에서는 ‘지상파 배불리기’라며 앞으로 변화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유료 채널에서만 시행되던 것이 지상파에까지 문을 개방하면서 수많은 광고주들이 지상파로 이동하지 않겠냐는 한숨이었다.
실제 케이블방송 업계의 우려는 컸다. 케이블TV협회 정책팀 김동현 팀장은 “이번 방송법 개정안은 생각했던 것보다 지상파에 유리하게 됐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규제개선이다”고 비판했다.
그는 “유료방송채널이 많이 컸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광고시장에선 지상파가 절대적이다. 그 규제가 완화된다면 광고물량이 그쪽으로 쏠릴 것”이라며 “프로그램 광고를 6분에서 9분까지 늘린 건 광고가 팔리고 안 팔리고를 떠나서 뭔가 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해준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그의 말처럼 광고총량제 시행 후 지상파 TV광고는 전년 대비 적게는 6%, 많게는 15% 가까이 증가할 것이라고 업계는 전망했다. 이대로라면 지금까지 지상파채널 사이 비대칭구조로 상당부분 광고 수익을 창출했던 유료 채널들의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 디자인=이주영 |
김동현 팀장은 “지상파나 유료방송채널이나 방송광고 시장 파이가 커지는 걸 반대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요즘 모바일·온라인 시장으로 광고가 많이 넘어가면서 방송광고 시장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어 이번 규제 완화로 그 파이가 커지길 바라는 건 동일한 입장”이라면서도 “현재 지상파와 유료방송채널을 같은 잣대로 평가하고 있다. 앞으로 유료방송채널과 지상파 사이 비대칭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송광고금지 품목 완화하는 것에 있어 유료방송채널 현실을 고려할 것 ▲24일부터 금지되는 대부업체 광고 손실액을 보완해줄 수 있는 해결책 마련할 것 등 다양한 보완책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한국방송광진흥공사 측의 생각은 달랐다. 미디어전략팀 이화성 팀장은 “광고총량제를 시행해도 지상파 쪽 매출이 크게 늘거란 가능성은 없다. 광고 판매 용량이 늘어나지만 이걸 팔 수 있는 프로그램이 몇 개나 되겠느냐? 방송사 별로 한두 개 정도라 그 격차는 미미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다원 기자 edaone@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