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양소영 기자]
왜 또 광주민주화 운동일까. ‘임을 위한 행진곡’이 답했다.
10일 오후 서울시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감독 박기복)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박기복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꽃비 전수현 김채희 김효명이 참석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0년 5월에 멈춰있는 엄마 명희(김부선)를 이해할 수 없었던 딸 희수(김꽃비)가 잊힌 진실을 마주하면서 서로의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을 담는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1989년에 발생했던 이철규 변사 사건이라는 두 역사적 사건의 시간과 공간을 결합,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은 시간의 간극과 상관없이 유효하며, 국가 폭력과 범죄는 시효가 없다는 점을 이야기 하고자 했다.
박기복 감독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죽기 전에 꼭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광주를 접하고 고향을 몇 차례 가고 광주 지인들을 만나고 문화 활동을 했던 분들을 보면서 ‘꽃잎’ ‘화려한 휴가’ ‘택시 운전사’를 보면서 궁금했다. 1980년 5월이라는 공간에 한정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제가 영화를 한다면 열린 공간에서 하고 싶었다. 복잡한 구조로 1980년대 담론을 담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꽃비는 “치열한 고민을 하고 감독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찍었다”며 “5.18 소재 영화가 처음이 아니다. 그동안 여러 작품이 나왔다. 왜 또 하냐고 지겹다고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꽃비는 “아직 끝나지 않은 사건이고 현재진행형인 역사라고 생각하고 이것을 잊지 않으려고 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계속 이야기 되어야 한다. 각자마다 이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도 다르다. 비슷해보일지 모르지만 다 다른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효명은 “5.18을 잘 모른다. 속사정을 잘 모른다. 저도 이 영화를 참여하면서 많이 느끼고 많이 배웠다. 영화를 통해서 젊은 세대들이 광주민주화 운동을 알게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광주 출신 배우 전수현 역시 같은 마음을 드러냈다. 그는 “저희 외할아버지가 5.18 국립묘지에 안치되어 계신다. 그래서 저는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 공부를 했었다. 나중에 서울에 와서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5.18 광주에 대해서 잘 모르더라. 안타깝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전수현은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인식을 가진 분들도 있지만 이 영화를 통해서 새로운 역사를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박기복 감독은 “1980년 5,18 숫자의 상징성이 있다. 어느 날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된 어떤 사건이 있었다는 아니다. 부마항쟁부터 광주민주화운동은 뗄 수가 없다. 광주만 부각되어 있다. 싸움이라는 것은 일시적으로 일어난 싸움이 아니었다. 그래서 1980년대 5월에 머물지 않고 큰 틀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저는 (관객들이) 먹먹해지면서 많은 생각을 가지셨으면 좋겠다. 영화 속에 점점으로 미션이 주어진 부분이 있다. 밥통부터 의문사 영혼결혼식이 있다. 저는 1980년대를 의문사를 키워드라고 봤
박기복 감독은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희생된, 야망과 광기의 시대, 우리에게 없어진 시간대, 참회와 반성 때문에라도 필요한 시간이다. 이철규만이 아닌 아닌 1980년대 노동자 재야인사들, 많이 사라진 사람의 총칭이다. 그런 식으로 이 영화를 해석하고 만들고 싶었다”고 고백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6일 개봉한다.
skyb1842@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