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생충' 봉준호 감독. 사진|강영국 기자 |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양소영 기자]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돌아왔다. 칸의 선택을 받은 ‘기생충’이 한국 관객과 만남을 앞두고 있다.
28일 오후 서울 CGV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영화 ‘기생충’ 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배우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이 참석했다.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기생충’은 전원 백수인 기택(송강호)네 장남 기우(최우식)가 가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박사장(이선균)네 과외선생 면접을 보러 가면서 시작되는 예기치 않은 사건을 따라가는 이야기를 그린다.
‘살인의 추억’ ‘마더’ ‘설국열차’ ‘옥자’ ‘괴물’ 등을 연출한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장편 영화다. 봉준호 감독 특유의 통찰력이 있는 시선과 유머 등으로 현 사회를 이야기한다.
봉준호 감독은 “‘지리멸렬’ 후 25년이 지났다. 그때 무슨 일이 있었던지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됐다. 사회 고위층이 주인공이다. 그들의 독특한 기행이 나온다. 가난한 자와 부자, 우리 주변에 있는 굳이 양극화 경제 사회적인 단어를 동원하지 않아도 가난한 자와 부자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담고 싶었다. ‘지리멸렬’과 그 이후 영화와 이어지는 부분이 있다. 이것이 사회 경제적으로 부자와 가난한 자들을 학술적으로 분석하는 영화는 아니다. 꿈과 희로애락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배우들의 연기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자와 가난한 자들을 떠나서 서로의 예의, 인간에 대한 예의, 인간의 존엄에 관한 것을 건드리는 면이 있다. 인간의 예의를 어느 정도 지키느냐에 따라 기생이 되는지, 공생이 되는지가 갈라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의 출발점이 두 가족이라고 밝혔다. 그는 “가난한 4인 가족과 부자 4인 가족이 기묘하게 섞이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그게 최초의 출발점이다. 우리 삶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다. 삶의 형편이 다 다르다. 다들 가정이 있고 가족이 있다. 형태가 다르다. 가장 기본적인 단위에서 가장 밀접한 드라마를 찍고자 했다”고 말했다.
‘기생충’ 안에는 젊은 세대의 현실도 담겼다. 봉준호 감독은 “제가 하고 싶은 건 영화 그 자체다. 영화를 떠나서 설파하는 건 아니다. 영화를 통해서 말해야 하는 사람이다. 최우식 박소담 두 명이 이 시대 젊은 세대의 모습을 더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저는 솔직해지고 싶었다. 영화의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지만, 영화의 마지막에 최우식의 감정적 여운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일상에서 마찬가지만 다 잘되길 바라고 실질적으로 잘 되길 바라지만 녹록하지 않다. 어려운 점이 많고 쉽지가 않은데 거기서 오는 슬픔과 불안감이 있다. 그런 복합적인 마음을 담아보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끝에 노래를 최우식이 직접 한다. 그것도 영화의 일부, 라스트신이라고 할 수 없지만 꾸역꾸역 살아가는 느낌이 젊은 세대에게 하고 싶은 이 영화의 말을 일부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영화 속에서 ‘냄새’는 중요한 소재다. 봉준호 감독은 “냄새는 중요한 모티브다. 가까운 사이라도 냄새를 말하기 쉽지 않다. 무례한 거다. 이 영화는 사적이고 내밀한 곳까지 카메라가 파고든다. 그래서 냄새에 대해 서슴없이 하게 된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그게 사실은 재미있는 것이 부자와 가난한 자, 그 사람들이 서로 냄새를 맡을 기회가 없다. 동선이 다르다. 비행기를 타도 클래스가 나뉘어지고, 일하는 곳과 가는 곳이 다르다. 동선이 겹치지 않는다”며 “가정 교사를 한다든가 집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이 영화에 나오는 직종과 근무 상황이 부자와 가난한 자가 가까이서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유일한 상황이다. 이 영화가 그러한 스토리의 연속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영화에서 쓰이지 않으면 이상할 법한 날카롭고 예민한 도구가 냄새였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봉준호 감독은 “칸은 과거가 됐다. 한국 관객을 만나
skyb1842@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