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박서준이 MBN스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
‘사자’는 격투기 챔피언 용후(박서준 분)가 구마 사제 안신부(안성기 분)를 만나 검은 주교 지신(우도환 분)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2017년 ‘청년경찰’을 연출한 김주환 감독의 신작이며 박서주은 김 감독과 두 번째 호흡을 맞췄다.
박서준이 연기한 용후는 어릴 적 아픔을 간직한 인물로 속내를 아무에게나 털어놓지 않는다. 겉보기엔 남부러울 것 없는 나날을 보내던 중 손에 성흔이 생긴 후로 이상한 일을 겪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안신부와 힘을 합쳐 절대 악에 맞선다. 박서준은 그동안 보여줬던 이미지와 전혀 다른 캐릭터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심도 있게 오컬트를 다루는 영화를 기대했다면 호불호가 있을 수도 있지만 ‘사자’는 좀 더 대중적인 선택을 했다고 본다. 저는 용후라는 인물의 서사에 더 집중했다. 오컬트는 어쩌면 인물의 상황을 표현해주는 하나의 도구라고 생각했다. 용후의 감정과 신선한 상황을 어떻게 표현하는지가 중요했고, 저도 나름대로 외로움을 갖고 있으니 용후의 외로움을 이해할 수 있었다. 용후의 환경과 주변을 대하는 태도, 표현 방법 등으로 미루어 과연 그는 어떤 인물인지 찾으려 끊임없이 노력했다. 김주환 감독님도 저에게서 처음 보는 모습을 꺼내려고 하신 것 같다.”
↑ 최근 박서준이 MBN스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
그동안 적지 않은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얼굴을 비췄지만 ‘사자’는 그의 원톱 주연작인 만큼 부담감도 상당했다. 하지만 위축되기보단 이미 주사위가 던져졌다는 생각으로, 모든 스태프들과 호흡하며 영화를 완성했다.
“부담감은 당연히 느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안성기 선배님과 우도환도 함께 하는 영화가 아닌가. 함께 하는 호흡이 굉장히 많은 영화다. 원톱이라는 생각은 크게 갖지 않았고, 그 보다는 영화 자체가 모든 스태프와 함께 숨 쉬는 거라서 더 신경을 많이 쓰고 열심히 연기했다. 용후를 표현할 때도 순간의 감저에 충실하려고 노력했다.”
박서준은 이번 영화에서 대선배 안성기와 버디무비의 캐릭터 같은 호흡을 자랑한다. 용후에게 안신부는 극 초반 적대자지만 어느 순간 유일한 믿음의 대상으로 전환된다. 올해 데뷔 62년차를 맞은 안성기와 호흡을 맞추는 건 박서준에게 어쩔 수 없이 어려운 일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한 배려로 편안한 분위기 속 유대감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좋은 시너지를 냈다.
“안성기 선배님에게 먼저 다가가야 한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처음엔 굉장히 어려웠다. 처음 인사드릴 때 오히려 먼저 편하게 해주시더라. 너무나 많은 경험을 하셨고, 역사를 거쳐온 분이기에 더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저에게 ‘선생님이라고 하면 너무 멀어 보이니까 선배님이라고 하는 게 어떠냐’고 해주셔서 그 이후로 좀 풀어진 것 같다. 현장에서 선배님은 모두를 아우르는 분이었다. 선배님이 계시는 것만으로도 편안함을 느꼈고, 의지할 수 있었다.”
↑ 최근 박서준이 MBN스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
‘사자’는 화려한 액션씬으로 볼거리를 충족하는 영화이기도 하다. 물론 연기하는 입장에서는 격렬한 액션에 고충도 많았을 터다. 특히 클라이맥스의 원테이크 액션씬은 많은 배우들이 함께 한 만큼 신경 쓸 부분이 많았다. 박서준은 상당한 노력 끝에 완성된 액션씬 촬영이 아직도 생생한 듯 그날을 하나하나 짚었다.
“원테이크 액션이 너무 힘들었다. 저만 (액션을) 외운다고 되는 게 아니라 함께 하는 분들도 외워야 했다. 무엇보다 원테이크 자체가 너무 부담돼서 숨을 못 쉬겠더라. 토할 것 같았다. 사실 그동안 체력 하나는 굉장히 좋다고 생각했는데도 그 장면은 부대끼더라. 게다가 감정까지 심어야 하고 신경 쓸 부분이 많아서 제겐 고난도 씬이었다. 9번 정도 찍은 것 같다.”
김주환 감독과 박서준을 비롯한 모든 배우들이 ‘사자’가 시리즈로 제작되기를 바라고 있다. 박서준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히어로무비를 울버린의 이야기가 담긴 ‘로건’(감독 제임스 맨골드)으로 꼽으며 조심스럽게 욕심을 내비쳤다.
“저는 작품을 하나하나 마칠 때마다 그 나이대 일기
MBN스타 대중문화부 김노을 기자 sunset@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