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5세 미만 어린이 화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열탕화상이 5년 새 15%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영철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성형외과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내원한 15세 미만의 급성 화상환자 2795명을 대상으로 연령 및 화상 원인, 수상 부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05년 71.9%였던 열탕화상 비중이 매년 조금씩 증가해 2009년에는 86.5%로 지난 5년 동안 15% 증가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전체 2795명의 환자 중 1~3세 미만의 영아기 환자가 52.3%(1463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81.9%(1198명)가 뜨거운 물이나 국물로 인한 열탕화상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장영철 교수는 “열탕화상이 늘어나는 이유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예방을 강화하는 것이 전체 소아 화상을 줄이는 해답”이라며 “소아화상환자의 추이를 5년 간격으로 역학조사해 치료와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011년 7월호에 ‘소아화상환자 2795례에 대한 연령별 임상 통계학적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국, 라면 등 특유의 식문화가 열탕화상 위험 높여
열탕화상의 원인은 국, 라면, 커피, 끓는 물 등 다양하다. 전기를 꼽아 물을 끓이는 전기포트의 줄을 잡아당겨 화상을 입는 영아들도 많다. 최근 정수기와 커피포트 등의 보급이 크게 늘어난 것도 열탕화상이 증가한 이유 중 하나다.
영유아 화상의 70~80%는 집안에서 일어난다. 특히 정수기의 경우 온수 버튼을 가볍게 누르기만 해도 물이 나와 어린아이들도 쉽게 작동할 수 있어 위험하다. 정수기의 온수 온도는 대략 85℃. 이는 어린이 피부에 1초만 직접 닿아도 깊은 2도 화상을 일으킬 만큼 높은 온도다. 깊은 2도 화상은 피부가 타는 듯한 강한 통증과 함께 상처 부위가 빨갛게 되고 물집이 생기며, 치료 후에도 흉터가 남는 화상을 말한다.
◆ 호기심 왕성한 1~3세 미만 아이들, 신체기능 조절능력은 미숙
1~3세 미만 유아들의 경우 열탕화상 비율이 다른 시기보다 월등히 높다. 아직 걸음마를 배우지 않은 1세 미만 영아들의 경우 보호자와 같이 있는 시간이 가장 많고 보호자의 집중도가 높다.
반면, 1~3세 미만의 유아들은 보육시설이나 조부모의 손에 맡겨질 경우 집중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1~3세 미만의 유아들은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자 하는 호기심이 왕성하고 사리판단 능력이나 신체기능의 조절능력은 미숙하므로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 소아화상은 10%만 넘어도 중화상
소아화상은 치료 후에도 치명적인 외상과 신체적 기형, 정서 및 사회성 발달장애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일단 소아들은 피부의 두께가 얇아 같은 온도에 의해서도 더 깊게 손상을 입고, 적은 범위의 화상으로도 수분과 전해질 소실이 쉽게 발생한다.
면역기능도 상대적으로 약해 화상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빈도가 높으며 전신적 기능이 미성숙해 치료에 어려움이 많다. 실제 성인의 경우에는 화상범위 20% 이상을 중화상으로 보고 있지만 어린이는 10%만 넘어도 중화상으로 분류한다.
◆ 민간요법은 화상치료에 ‘독’
나이가 어릴수록 화상에 따르는 피해가 큰 만큼 보호자들은 올바른 응급처치법을 숙지해 둬야 한다. 우선 화상의 원인을 즉시 제거하고 2분 이내에 흐르는 차가운 물로 10~15분 정도 식혀준다. 얼음이 직접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은 피부의 손상이 가중되므로 얼음 사용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소아 환자에서 화상 범위가 넓을 때 차가운 물을 오래 사용하면 저체온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이렇게 피부를 식힌 후 깨끗한 수건으로 화상 부위를 싸고 병원을 방문하면 된다.
민간요법으로 술이나 감자, 바셀린 연고, 돼지 껍질 등을 사용하는 것은 화상 부위에 감염이나 추가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팔찌나 시계, 반지, 귀걸이, 허리띠 등은 오랜 기간 열을 저장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해 화상 부위가 부어오르면 혈액 순환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이를 제거해야 한다.
◆ 소아화상 예방하려면 보호자가 먼저 주의해야
어린 아이는 신체조절능력이 부족하고 판단력이 미숙하므로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자 선에서 적절한 주의가 필요하다. 열탕화상의 경우 온수의 유출구가 소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설치하고, 구입할 때부터 안전장치가 있는지 꼼꼼히 따져본다면 화상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냄비나 주전자 등은 어린이가 손을 대지 않도록 교육시키고 가능하면 용기의 손잡이는 어린이의 반대로 돌려놓는다. 또한 정수기나 욕조에서의 열탕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혼자서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전기화상은 중화상으로 이어지기
장영철 교수는 “전기코드, 다리미 등의 플러그는 항상 전원에서 뽑아야 하며, 어린이들이 젓가락 등을 집어넣을 수 있으므로 콘센트에 안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면서 “특히 유치원이나 보육시설, 산후조리원, 보건소 등에서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예방교육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미 매경헬스 [lsmclick@mkhealt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