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도 미국 보건정보기술 국가조정국, 호주 e-헬스 전환청 같이 헬스케어 IT만 전담하는 정부기관이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리나라는 높은 유무선 인터넷 보급률과 세계 최고의 전자제품 수출국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헬스케어 IT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기 때문이다.
특히 헬스케어 IT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치솟을 치료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고, 서비스의 질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영국의 경제전문 언론매체인 이코노미스트 산하의 경제 연구조사 전문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니트(Economist Intelligence Unit)는 17일 ‘한국 헬스케어 IT의 미래 백서’라는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GE의 후원으로 제작된 이번 보고서는 국내 의료산업 현황분석, 의료 관계자 인터뷰, 해외사례 조사 등 심층 연구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보건의료산업의 현황과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의료보험제도와 유무선 인터넷 기술 그리고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헬스케어 IT를 활성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의료정보 프로젝트가 시범 단계에 머물러 있고, 의료계나 민간부문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실제 정부가 추진한 전자의무기록(EMR)과 전자처방전달시스템(OCS), 원격진료 등은 사업은 성공적이었으나 여전히 많은 사업은 표류 중에 있다.
따라서 EIU는 미국이나 호주 같이 헬스케어 IT를 전담하는 정부기관을 설치하고, 캐나다 헬스인포웨이 같은 다양한 집단 간의 이해관계를 중재하는 기구도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를 총괄한 데이비드 라인(David Line) EIU 수석편집장은 “헬스케어 IT는 의료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며 “헬스케어 IT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미국이나 호주의 선례에 비춰봤을 때 한국 정부에서도 헬스케어 IT를 관장하는 전담기구를 서리해 다양한 기관의 이해관계를 중재하고, 이견을 좁히는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EIU는 보고서를 통해서 헬스케어 IT와 같은 신기술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이 직접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소규모 의원들은 재정적 인센티브 등으로 유인하고, 의사자격 평가의 일부로 IT 교육을 의무화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는 민간 부문이 경쟁적으로 주도할 것이 아니라, 필수 인프라 및 IT 분야의 표준 구축은 정부가 투자할 것을 요구했다.
이외에도 환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헬스케어 IT가 커뮤니케이션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EIU는 밝혔다.
또한 신기술의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IT 인프라 구축 외에도 관련 조직과 시스템을 최적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이철 대한병원협회 부회장은 “최근 연세의료원을 비롯한 여러 병원들이 스마트폰으로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헬스케어 IT 도입에 적극적”이라며 “의사와 환자의 대면진료만을 허용하는 현행 의료법, 이해단체들 간의 의견 차이, 투자 유인책 등 헬스케어 IT를 도입하기 위해 선결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로랭 로티발 GE헬스케어 코리아 사장은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월등한 의료기관, 세계적 수준의 IT인프라, 헬스케어 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 등을 두루 갖췄다”며 “이제는 한국 보건의료시스템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걸음 나아갈 때로, GE헬스케어의 풍부한 글로벌 경험, 인재, 솔루션은
한편, 대한병원협회(회장 성상철)와 GE헬스케어(대표이사 로랭 로티발)는 고령화 시대 속 국내 의료보건체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컨퍼런스를 63빌딩에서 개최했다.
한석영 매경헬스 [hansy@mkhealt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