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차적응에 도움 되는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즉각 시차적응하는 방법은?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시차 적응 안될 때 필요
시차적응에 도움 되는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즉각 시차적응하는 방법은?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돼 시차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 관심이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미국 사이언스데일리 등 과학매체는 캐나다 맥길대와 컨커디어대 공동 연구팀이 체내 시계의 오차로 시차적응이 잘되지 않을 경우 리셋(재설정)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실험결과는 시차적응 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수면장애나 우울증, 자폐증, 대사이상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체내 시계 리셋물질 발견 사진=MBN |
시차가 있는 지역간을 항공기 등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또는 실험적으로 같은 상황을 재현했을 경우 체내 개일리듬의 위상과 이동 후 그곳 시각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몸의 부조감. 일반적으로 각성-수면 패턴이 흐트러지고 호르몬 분비나 체온리듬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능력이 저하된다.
시차미적응은 개일리듬이 차차 현지시간에 동조해 감에 따라 해소된다. 사람의 개일리듬 자유계속주기는 24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현지시각에 적응할 때에 리듬 위상을 후퇴시켜야 하는 서쪽으로의 비행보다 위상을 전진시켜야 하는 동쪽으로의 비행 후가 시차 미적응 해소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체내 시계를 리셋할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은 뇌에서 빛에 의해 자극되는 특정 단백질의 인산화 반응이다.
인간의 세포 속에는 식욕이나 수면욕을 느끼게 하는 생체리듬이 대략 24시간 주기로 변화하므로, 이를 보통 체내 시계라고 부른다.
이 체내 시계는 지금까지 빛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연구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우리 뇌 속에 있는 eIF4E라는 단백질의 인산화 작용에 주목했다. 쥐 실험 결과 단백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빛에 의해 인산화 작용하는 것이 확인됐다. 추가 연구를 통해 시차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수면장애, 우울증, 자폐증, 대사이상 등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