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국립기상과학원이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9차례의 인공강우 실험을 해 4차례 비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비의 양이 너무 적어 인공강우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데는 실패했습니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기상청 산하 국립기상과학원은 MOU를 체결하고 지난해 5∼12월 경기도와 충남 서해안 지역에서 9차례에 걸쳐 인공강우 실험을 했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비행기를 이용해 구름이 많은 날 빗방울을 만들 수 있는 염화칼슘을 구름 속에 뿌리는 방식으로 인공강우 실험을 하면, 도는 이 강우 데이터를 받아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공동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두 기관이 실시한 9차례 실험에서 4차례 비가 내렸습니다. 비의 양은 매회 평균 0.88㎜(시간당 0.04㎜)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비의 양이 너무 적어 이 인공 비로 인해 대기 중 미세먼지가 얼마나 줄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도는 이에 따라 2016년 9월부터 추진해 온 미세먼지 저감 계획(일명 알프스 프로젝트) 중 인공강우를 통한 미세먼지 줄이기 계획은 일단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도 관계자는 "연구 결과 대기 중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시간당 0.2㎜ 이상의 비가 내려야 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이어 "현재 기술로는 많은 양의 비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한계가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 인공강우 기술이 발전하면 분명히 이 기술을 통한 미세먼지 줄이기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