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간의 첫 정상회담이 다음 달 2일 열릴 것이 확실해 지면서 한일관계가 결정적인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NHK는 28일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양측이 "11월2일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일본측에 다음달 2일 정상회담 개최를 이미 제안한 만큼 이날 성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정상회담을 갖는 것 자체가 큰 의미를 지닙니다.
2013년 초와 2012년 말에 각각 취임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그동안 한 번도 정상회담을 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11월 베이징에서의 APEC 정상회의나 같은 달 호주 브리즈번에서의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올해 3월 싱가포르에서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의 국장 참석 계기 등에 환담 수준의 만남을 가진 게 전부였습니다.
한일 정상회담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12년 5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열립니다.
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전제조건으로 내걸지는 않았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그동안 한일 정상회담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왔습니다. 그런데 위안부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정상회담을 계기로 극적 타결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로서는 다음 달 1일께 열릴 한일중 정상회의 의장국으로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거부하는데 부담이 따랐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북핵 문제 등과 관련해 안보협력 필요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과거사 문제로 악화했던 한일관계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일 공조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일관계의 개선을 강조하는 미국의 희망도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우리로서는 내년 총선, 2017년 대선을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가 한일관계 개선과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올해를 넘기면 아베 총리의 임기가 끝나는 2018년까지도 관계개선의 계기를 마련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습니다.
한일 정상회담은 우리 정부의 '투트랙' 대일 외교 기조의 완결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과거사와 안보·경제 등 상호 호혜적 분야를 분리 접근하는 '투트랙' 기조를 취해 왔지만 그동안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이 투트랙 기조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었습니다.
2012년 8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처음 방문하고, 이듬해인 2013년 12월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후 악화일로를 걷던 한일관계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협력의 깊이와 폭을 넓힐 것으로 전망됩니다.
박 대통령은 물론 아베 총리 역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다음달 집중된 다자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정상회담과 상호 방문형식의 정상회담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낙관을 하기에는 여전히 한일관계의 현실이 녹록지 않다는 시각도 적지 않습니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일간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맞물려 치열한 신경전과 샅바싸움이 전개된데서도 잘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다음달 2일 한일정상회담을 제안했다고 극히 이례적 발표를 한데 대해 일본측에서 "그런 보도를 들은 바 없다"는 반응을 내놓는 등 외교적 관례에 비춰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위안부 문제는 성공적 한일 정상회담을 위한 여정에서 여전히 걸림돌입니다.
박 대통령은 물론 우리 정부는 의미 있고 건설적인 정상회담이 되기 위해서는 위안부 문제의 진전이 었어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했지만 일본측의 '획기적 제안'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작은 편
이에 따라 한일 정상회담 이후에도 한일관계의 완전한 정상화에는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고, 자칫 '빈손' 논란 등으로 여론이 악화하면 한일관계가 다시 뒷걸음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과거사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논의를 하되 어렵사리 마련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화해의 불씨를 살려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