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가 지난 달 열린국정감사에서 에너지홍보관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막 국회는 불과 1개월만에 스스로 말을 뒤집었다. 에너지홍보관 재개관을 이유로 국민 혈세 68억원을 투입하는 황당한 예산운용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31개 에너지 홍보관의 방만한 운영에 대해 국회의 질타가 있었고 예산 당국도 사업성을 이유로 예산을 반영하지 않았지만, 정치권에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현안 과제라는 이유로 은근슬쩍 끼워넣은 게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매일경제 취재 결과 국회 산업위는 최근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중인 대전에너지관 재개관 명목으로 68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대전에너지관은 지난 1993년 149억5200만원을 들여 대전 엑스포 공원에 설립됐다.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향상과 수요관리 등 국내 에너지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전시하는 대국민 소통창구로 활용됐다. 그러나 엑스포 이후 점차 공원을 찾는 관람객 발걸음이 줄어들자 미래부와 대전시는 이 지역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조성하기로 합의하고 지난 8월에는 대전에너지관을 비롯한 부지내 건축물들을 철거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휴관 중인 대전에너지관을 공원내에 있는 한국전력 소유의 전기에너지관으로 이전하기 위해 미래부와 대전시, 한전과 협의 중”이라며 “이번에 증액된 예산은 전기에너지관 리모델링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산업위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전기와 가스, 원자력 등 각종 에너지 홍보관이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고 비판한지 불과 1개월만에 정부 예산안에도 반영되지 않은 사업비를 포함시키는 ‘이중적 행태’를 보였다는 점이다.
박완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국감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 공기업의 홍보관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 전국에 2500억원을 들여 세운 31개 에너지 홍보관 관람객이 하루 평균 모두 합쳐 5000명에 불과했다”고 질타했다. 에너지홍보관 1곳의 일일 평균 관람객 수가 약 160여명에 불과한 셈이다.
특히 에너지공단의 대전에너지관의 경우 지난 2008년 이후 관람객 수가 10만명을 웃돌았지만 지난해에는 4만명으로 절반 이상 급감했다. 휴관 이후에도 관리비가 연간 5000만원 가량 들면서 ‘밑빠진 독에 물붓는 격’이라는 지적이다.
현재 에너지홍보관은 전국에 총 31곳이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자력발전홍보관 4곳, 양수발전홍보관 7개 등 11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한전 6곳, 한국가스공사 5곳, 에너지 관리공단 4곳 등이 운영중이다.
이 중 전북 고창군에 한전이 88억원을 들여 설립한 ‘전자계 이해증진관’은 2010년 이후 연평균 방문객이 1700명에 그쳤다. 하루에 10명도 방문하지 않아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인 셈이다. 대구시 한국가스공사의 청연갤러리는 연간 3000명, 경기도 구리시 한전 SG스테이션은 953명, 안성 송변전설비 홍보 전시관은 2200명에 불과했다. 유일하게 유료로 운영되는 한국원자력연료의 홍보전시실도 고작 2500명이다. 한전원자력연료 홍보전시실, 삼랑진양수홍보관, 청평양수홍보관은 아예 관리인원조차 없어 사실상 방치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완주 의원은 “국가예산을 들여 만들어진 홍보관 대부분은 국민들로부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고 일부는 관리인조차 없이 방치되는 등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따가운 비판의 목소리가 국회서 제기됐지만 산자위는 겨우 1달도 안돼 국민 혈세를 홍보관 재건립에 사용하는 ‘말따로 행동따로’의 황당한 행보를 취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이 지역 최대 현안인만큼 해당 지역구 소속 의원들이 동료 의원들과 모종의 거래를 한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세워지는 대전시 지역구 의원들 중 산업위 소속은 없지만 의원들간 예산 주고받기는 상임위서 얼마든지 가능한 상황이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대전시 소속 의원들이 자신들의 지역구인만큼 관심이 많았던 건 사실”이라면서도 “중부권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 관리에 대한 홍보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설립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대전에너지관을 한전의 전기에너지관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서도 사업성 여부에 논란이 제기된다.
엑스포 공원이 전체적으로 활력이 떨어지는 가운데 전기에너지관도 지난 1월부터 휴관에 들어갔다.
대전 엑스포공원이 수년전부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개발된다는 이야기에 인근 홍보관들이 재계약에 잇따라 실패하고 폐관되면서 공원을 찾는 관람객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사한 에너지 홍보관을 한 공원내에 중복으로 설치한 점도 건립 초기부터 비효율성을 양산할 수 밖에 없었다. 한전의 전기에너지관은 지난 1994년 무려 84억원을 들여 세워졌으며 지난 1월 휴관 이후에는 마땅한 용도를 찾지 못해 놀고 있는 실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계획 발표로 인근 전시관이 하나둘 문을 닫아 관람객 수가 부쩍 줄어들었고 유지비가 계속 들어가 휴관밖에는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아직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삽도 뜨지 않은 상황에서 대전에너지관을 한전의 에너지홍보관으로 이전한다고 해도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