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어도 전자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완제품의 경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주력 가전업체가 중국 현지에 공장을 두고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더욱 영향권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미 TV와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 분야에서 세계 최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 때문에 삼성과 LG 등은 현지에 공장을 짓고 현지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는 물론 TV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중국에서 직접 생산해 중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LG전자도 중국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대부분의 제품 공장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관세 철폐 등 무역정책 변화가 중국 사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또 휴대전화와 컴퓨터, 반도체 등 IT제품은 첨단 전자산업 교역을 자유화하기 위한 정보기술협정(ITA) 때문에 FTA에 상관없이 이미 관세 적용을 받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국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모두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한중 FTA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대우전자는 중국에 냉장고와 세탁기, 전자레인지 공장이 있지만, 중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일부는 ‘한국산 프리미엄 제품’임을 내세워 한국 공장에서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 등에 붙는 10% 관세가 사라지면 수출 경쟁력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국내 가전시장의 경우 한중 FTA 체결로 값싼 중국 IT 제품의 수입물량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이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IT·가전업체들은 최근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수입 제품을 밀어내며 자국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또 특화기능 제품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시장도 빠르게 침투중이다.
하지만 중국 제품은 세계 프리미엄 IT·가전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는 한국 제품과 비교하면 품질과 브랜드파워 면에서 여전히 격차가 커서 우리나라 시장에서는 큰 힘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으로 업계에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나 유럽연합(EU)과의 FTA 체결 때도 국내 IT·가전 시장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한국 제품의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높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섣불리 돌아서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값싼 중국산 중소형 IT 제품은 빠르게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샤오미의 휴대폰 보조배터리의 경우 국내 제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격을
[이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