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으신 것처럼 이번 합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 차원의 책임을 처음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행간을 들여다 보면 양국 간 해석 차이 등 논란의 여지는 남아 보입니다.
주진희 기자입니다.
【 기자 】
「'법적 책임'은 어떻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요구하고 있는 '법적 책임' 부분은 이번 합의문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법적 책임'을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만큼, 일본은 '배상금'이라는 표현도 쓰지 않았습니다.
「 심지어 기시다 외상은 회담 후 일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재단에 들어가는 예산은 '배상금'이 아닌 '치유사업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소녀상' 이전? 존치?」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소녀상 이전 문제도 깔끔하게 매듭짓지 못했습니다.
「기시다 외상은 일본 기자들과 만나 소녀상이 적절히 이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해석 여지가 많은 회담의 특성상, 일본 측에 유리하게 해석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한 겁니다.
▶ 스탠딩 : 주진희 / 기자
- "가장 핵심적인 법적 책임과 민감한 소녀상 문제를 모호한 상태로 남겨두고 최종 협의라고 발표함에 따라,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게 됐습니다. MBN뉴스 주진희입니다."
영상취재 : 정재성 기자
영상편집 :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