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백악관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화통화를 하고 “강력하고 단합된 국제사회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러시아 측도 크렘린궁 성명을 통해 북한의 수소탄 핵실험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전면 위반한 것으로 간주하고 국제사회가 혹독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데 두 정상의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지 않기 위해 관련국들이 절제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의도적인 무시’ 차원이라고 확인했다.
벤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부보좌관은 이날 외신 대상 기자회견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거론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 “북한 지도자에 대해 내가 아는 것은 그가 관심받기를 좋아하고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되도록이면 많이 언급해 주기를 바란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그의 바람대로 따라주지 않을 것이며 특별히 관심을 보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같은 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워싱턴DC 국방대학교에서 새해 대외정책 기조를 발표하면서 북한·북핵문제에 대해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전날 오바마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같은 맥락으로 판단된다.
이날 로즈 부보좌관은 미국이 북한에 대해 관심과 당근보다는 훨씬 매서운 ‘채찍’을 들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로즈 부보좌관은 “북한과 북핵문제가 대외정책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 것은 아니다”며 “유엔 안보리 대북결의와는 별도로 양자 차원의 추가 대북제재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 측은 한·일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미사일 방어(MD)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14일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측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면담하고 포괄적이고 강력한 대북제재를 위한 중국 측 협조를 당부했다. 황 본부장은 우 대표를 만나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3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중국 측에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적극적 역할을 요청한 내용과 같은 날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결과에 대해 설명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반도 정세안정에 무게를 두고 가혹한 대북제재에 거리를 뒀던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요구를 감안해 ‘책임있는’ 대국의 역할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한·중 국방당국은 15일 서울에서 북한 핵실험 이후 첫 첫 공식회의를 열어 북핵대응과 한반도 안보상황 등을
국방부는 “내일 서울 국방부 청사에서 중국 국방부와 제15차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윤순구 국방부 국제정책관과 관요페이 중국 국방부 외사판공실 주임이 각각 양측 수석대표로 나선다”고 밝혔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서울 =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