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의 한 고위관리는 24일(현지시간)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2005년의 6자 공동성명을 기반으로 한 6자회담 틀에서의 협상이며 그것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전 기간에 우리가 일관되게 추구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고위관리는 이날 존 케리 국무장관의 라오스와 캄보디아, 중국 순방 계획에 대한 전화 질의응답 과정에서 케리 장관의 방중 때 ‘6자회담이던 다른 뭐라고 부르던, 중국과 북한 문제를 협의할 새로운 접근법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이 고위관리는 ”회담장에서 걸어나간 것도 북한이고, 문을 닫은 것도 북한이며, 모든 당사자로부터 핵개발 포기 관련 제안을 받았을 때 거부한 것도 북한“이라고 비판한 뒤, ”그것(북한의 회담 참여)이 (북미) 관계 정상화나 평화협정 대체를 위해 우리가 그들과 협의할 수 있도록 하는 문을 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국제사회가 마음을 바꾸고 핵무장한 북한을 용납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중국도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이 고위관리는 이어 ”다른 주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 북한을 잠잠하게 하는 최면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북한의 불법적인 핵무기 장착 미사일 개발 계획이라는 문제를 단도직입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진전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리는 ”북한이 (협상의) 주제를 바꿔서 어떻게든 핵개발 계획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에서 더 빨리 벗어날수록 동북아시아는 더 빨리 안전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과 관련, 그는 ”김정은(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오해의 여지가 없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이 아마도 가장 중요할 것”이라며서
북한이 최근 미국인 대학생 1명을 억류했다고 발표한 일과 관련해 이 고위관리는 “기본적으로 스웨덴을 통해” 억류 미국인의 안전 확보와 석방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