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이 10일 최종 마무리되면서 92일 동안 진행된 '탄핵 정국'을 주도한 정치인들에 시선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
지난 해 12월 9일 국회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기 전까지는 당 지도부급 인사들이 탄핵 정국을 이끌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당시 비상대책위원장),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 등은 탄핵소추안 본회의 상정을 주도했고, 당시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 소속이었던 김무성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등은 당내 '비박(비박근혜)계'를 규합해 탄핵소추안 본회의 가결 정족수인 찬성 200표 확보를 위한 총력전을 펼쳤다.
특히 13년 전인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추 대표는 이번 박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이라는 성적표를 받아내면서 리더십에 탄력을 받게 됐다. 2004년 탄핵 정국에서 당론을 따랐다가 '주범'으로 몰렸다면 이번에는 '주역'으로 명예회복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다만 이 과정에서 당 의원들과 충분한 상의를 거치지 않고 박 전 대통령과의 단독 영수회담 추진, 김무성 의원과의 전격 회동 등을 진행하면서 국민의당 등 야권 전체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했다.
우 원내대표는지난 해 탄핵 정국에서 당내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며 민주당이 '단일대오'로 움직이는데 힘을 보탰다. 당내 계파 싸움 탓에 그동안 주요 이슈가 터질 때마다 확실한 당론을 모으지 못하는 점이 민주당의 고질병으로 꼽혔는데, 이번에는 이같은 문제가 불거지지 않은 것은 우 원내대표 리더십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박 대표 역시 추 대표와 마찬가지로 분열된 야권을 하나로 규합해 조기 대선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당내 입지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다만 지난 해 12월 초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탄핵안 처리 날짜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것처럼 야권이 같은 배에 타기에는 대립하는 부분이 많다는 점에서 탄핵이라는 '큰 산'을 넘은만큼 향후 조기 대선 정국에서 갈등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과 유 의원의 경우 새누리당 시절부터 탄핵 목소리를 높이고, '찬성 200표' 확보를 위한 설득작업에 나서는 등 줄곧 주도적 역할을 해왔다는 분석이다. 다만 바른정당 대선 후보 선출 과정에서 개헌에 대한 김 의원과 유 의원의 입장 차이가 첨예한만큼 이들의 '밀월 관계'가 어디까지 갈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된 뒤에는 국회 탄핵소추위원장을 맡은 권성동 바른정당 의원 등 국회 탄핵소추위원단 역할에 시선이 집중됐다.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에는 권 위원장을 포함해 박범계 이춘석 민주당 의원, 김관영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 장제원 바른정당 의원, 이정미 정의당 의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권 위원장의 경우 당적을 바른정당으로 옮기기는 했지만 여당 출신이라는 점에서 탄핵 심판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이끌어갈지를 놓고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 검사 출신인 권 위원장이 날카로운 질문을 쏟아내자 평가도 달라지기시작했다. 권 위원장은 탄핵심판을 마무리하는 최종변론에서는 감정에 북받쳐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반면 박 전 대통령을 보필해온 윤상현 조원진 김진태 등 친박(친박근혜) 의원들은 '폐족' 위기에 몰릴 전망이다.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