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강경화, 현장 뛰어본 외부전문가로 긍정 판단"…국민의당 지도부와 이견
↑ 정동영 / 사진=연합뉴스 |
국민의당 지도부는 12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불가론'을 고수하며 강공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당의 지지기반인 호남 지역의 민심이 정부·여당에 보내고 있는 높은 지지율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현실론' 속에 호남중진들이 당 지도부와 이견을 드러냄에 따라 향후 원내전략과 정체성 재정립에 대한 고심이 커져가는 모습입니다.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에서 제1당이지만, 국민의당이 협조를 해주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불능정당이다. 덩치만 크지 아무 역할을 못한다"고 꼬집었습니다.
여당이 강 후보자 지명철회 요구를 무시하고 청문정국 '정면돌파'를 계속 시도한다면 여소야대 국회에서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의당이 향후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표결이나 개혁입법 처리에서 협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입니다.
이처럼 국민의당은 인사 정국에서 연일 원내 3당으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지만, 마냥 정부·여당에 각을 세울 수만은 없다는 현실적 고민도 여전합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의 6월 첫주 집계(유권자 2천22명 대상·95% 신뢰 수준·표본오차 ±2.2%포인트)를 보면 국민의당은 지역적 기반인 호남에서 15.0% 지지율을 얻는데 그쳤습니다.
반면 호남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92.3%에 달했고, 민주당도 60.4%로 국민의당을 압도하는 상황입니다.
야당으로서 문 대통령과 민주당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할수록 지지율을 잃게 되는 딜레마 속에 호남을 지역구로 둔 당 중진들 사이에서는 인사청문회 '강공' 방침에 이견이 감지됩니다.
정동영 의원(전북 전주병)은 9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강 후보자를 현미경으로만 봐서는 안된다. 망원경으로 볼 필요가 있다. 외교부의 내부자가 아닌 강 후보자는 현장을 뛰어본 외부 전문가다. 긍정적으로 판단한다"며 당론과 다른 입장을 보였습니다.
정 의원은 호남 출신인 김 헌재소장 후보자에 대해서도 "의원총회에서 의견 수렴을 해봐야한다"면서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서 세월호 책임을 강하게 주장한 소신판결은 평가받아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당 지도부에서도 상황에 따라 청문 절차에 협조해야 한다는 기류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광주 광산갑이 지역구인 김동철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김 후보자에 대해 사견을 전제로 "경과보고서 채택을 거부한다거나 꼭 '부적격'이라고 해석해야 한다고까지는 않는다"며 "보고서를 채택하고 표결로 말하면 되는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미묘한 당내 기류를 반영하듯 오후 3시께부터 1시간 30분가량 진행된 의원총회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를 주로 논의하고 청문회 관련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무위와 외통위 간사인 이상돈·이태규 의원이 각각 김상조·강경화 후보자 청문회 상황을 의원들에게 보고하는 수준에 그쳤고, 김이수 후보자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민의당은 현재 당 차원의 입장 표명도 유보한 상태입니다.
국민의당은 강 후보자 지명 철회요구와 더불어 추경에 대한 보완요구가 어느 정도 반영이 되는지 등을 지켜보면서 충분히 시간을 갖고 인사문제와 관련한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최명길 원내대변인은 "협치라는 전제가 무너진 상황에서 (정부·여당이) 강경화 후보자 강행 입장만 고수 하고 있어 김이수 후보자와 연계하려 한 것은 아닌데 결과적으로 영향을 받는 상황은 맞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민의당은 자유한국당을 향해서도 날을 세웠습니다.
박지원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오늘 한국당이 대통령 티타임을 거절하고 대통령의 상임위원장단 초청도 거부한다면 정치 근본을 무시하는 것으로 옳지 않다"
이어 "저도 청와대에서 MB(이명박 전 대통령)를 만나 G20 준비를 위해 당시 김성환 외교부 장관 청문회를 초스피드로 협력하기도 했고, 정부·여당이 아무리 부탁해도 낙마를 시킨 경험도 있다"면서 "만나서 대화하고 합의가 안 되면 반대하는 것이 정치"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