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강력 대응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이니셔티브'나 '프로세스'를 제시할 지 주목된다.
유엔총회 참석차 18일 3박 5일 일정으로 미국 뉴욕 순방길에 오른 문 대통령은 120여개국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유엔 다자 외교무대에서 북한 미사일 도발과 6차 핵실험에 따른 한반도 위기 해법을 모색하고 내년 2월 성공적인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위한 국제사회 관심을 요청할 예정이다. 21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총리와의 취임 두 번째 한미일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 대응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아울러 한미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독일에서 '베를린 구상'을 통해 대북정책 청사진을 내놓은 바 있다. 비록 북한이 핵무장국가 위상을 갖추기 위해 폭주하는 상황이지만 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라는 목표를 위해서는 강력하면서 실효적인 제재·압박과 더불어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에서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 2375호 채택을 높게 평가하고 북한의 도발이 레드라인(임계치)에 임박했다는 점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한미일 공조를 굳건히 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에 중국과 러시아의 동참을 촉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서 '한반도에 다시는 전쟁 참사는 없어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비핵화와 평화적인 해결책 모색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지난 14일"문 대통령이 우리 정부 국정철학과 기조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난민 등 글로벌 현안 해결에서 우리 기여 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북한문제 관련 국제사회와 미 여론주도층 지지와 공감대 이끌 것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제시한 연설문을 참고로 문재인 대통령의 기조연설문을 가다듬고 있다. 실제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유엔 첫 데뷔 당시 각각 밝힌 북핵 해법은 최근 문 대통령이 제시하고 있는 방안과 큰 차이가 없다.
박 전 대통령은 취임 1년 7개월만인 2014년 9월 유엔 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에 '선(先) 핵포기'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은 북한의 선제적 변화이며 이것이 전제된다면 우리가 앞장서서 북한의 경제발전을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구상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로 명명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취임 1년 7개월만인 2009년 9월 유엔총회에 처음 참석해 '그랜드바겐(Grand Bargain)'이라는 북핵 해법 구상을 세계 각국 정상 앞에서 공개했다. 그랜드바겐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의 '핵심부분'을 포기하는 결단을 내린다면 국제사회와 더불어 대대적인 대북지원에 나선다는 일괄타결 구상이다.
결국 문 대통령의 이번 유엔 총회 연설도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강력규탄하면서도, 해법은 이 전 대통령의 '그랜드바겐' 박 전 대통령의 '한반
[뉴욕 = 강계만 특파원 / 서울 =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