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기조에 맞춰, 국가 원자력 연구개발(R&D)의 방향도 바뀐다. 지난 20여 년간 국가 원자력 R&D는 '경제성장 지원'을 목표로 추진됐지만, 앞으로 원자력발전소 및 관련 기술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원자력발전소 해체 기술을 확보하고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 687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올해(600억원)보다 10% 이상 늘어난 액수다. 이는 내년 원자력 분야 R&D에 투입되는 예산 2036억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을 18일 발표했다.
우선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원자력발전소를 해체하기 위한 기반기술 38개와 상용화 기술 58개를 2021년까지 확보 총 96개 기술을 2021년까지 개발을 확보키로 했다. 내년 이 사업에 들어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은 138억 원이다.
원전의 내진성능 강화와 중대사고 방지 및 리스크 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등 원전의 안전을 강화하는 데 내년 96억원을 투자한다.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밀봉용기를 개발하고,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처분 관련 기술 개발도 정부가 지원한다. 이런 '사용후핵연료 관리기술 개발'에 내년 122억 원,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기술 개발'에 40억원,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 개발에 50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원자력 기술을 의료 및 바이오 등 다른 분야에 확대 활용한다는 내용도 이번 전략에 포함됐다.
원자력의학원을 방사선기술 기반 연구중심병원으로 정해 2019년까지 동위원소 치료기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임상기술을 개발키로 했다. 또 방사선 의약품 개발 지원에 내년 138억원을, 하나로 등 연구기반 시설을 활용해 산업 소재를 개발하는데 50억 원을 쓰기로 했다.
핵융합 등 미래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핵융합에너지원천기술개발사업(가칭)'을 2020년 신설하고, ITER(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방침을
원자력기술을 이용해 신산업을 육성하도록 하나로(대전), 방사선연구소(전북), 방사선치료 플랫폼(서울) 등 원자력 기반시설이 집적된 지역을 중심으로 '방사선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것도 이번 전략에 포함됐다. 또 국내 연구로 및 중소형원자로 등의 수출 지원도 강화키로 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